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성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틀간 진행된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성료
▷현대오토에버,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등 국내외 DX/AX 선도기업 28개사 참여

입력 : 2025.03.18 10:30 수정 : 2025.03.18 10:57
한국산업지능화협회,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성료 (사진=한국산업지능화협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산업지능화협회(협회)는 지난 3 13일부터 14일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 E홀에서 개최된 ‘2025 산업지능화 컨퍼런스가 성료했다고 18일 밝혔다.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과 동시에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국내외 DX/AX 선도기업 28개사가 참여하여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인공지능 전환(AX)으로 나아가는 방향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의 생존 전략 등을 제시했다.

 

컨퍼런스 1일차에는 ‘LG CNS’, ‘한국 IBM’,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원프레딕트등의 기업들의 기조세션 발표가 진행됐다.

 

박재원 LG CNS 화학사업 담당은 ‘AX를 통한 제조기업의 혁신적 경쟁력 확보 방안을 주제로 제조기업이 AI 도입 시 사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과 제조 현장에서의 AI 활용 관점 및 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이어 박정선 한국IBM 실장은 AI를 통해 설비 자산 관리의 효율을 높이는 사례를 설명하며, 검사 자동화, 고장 예측 및 예지보전, 현장 작업 지원 등에서의 실제 유스 케이스를 소개했다.

 

이노우에 나오타케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FA엔지니어링사업부장은 미쓰비시전기가 추구하는 디지털 제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디지털 제조 추진의 3요소로 생산현장의 자동화’, ‘업무의 디지털화’, ‘시스템 통합등을 소개했다.

 

아울러 윤병동 주식회사 원프레딕트 대표는 AI가 산업 생산성 관점에서 파괴적 혁신을 가져다줄 수 있는가에 대해 화두를 던지며, 산업 AX를 기반으로 O&M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2일차에는 현대오토에버’, ‘로크웰 오토메이션’, ‘헥사곤 MI’, ‘다임리서치 주식회사등이 기조세션 발표가 이어졌다.

 

장연세 현대오토에버 상무는 제조 혁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SDF(Software Defined Factory) 체계를 실현하기 위해 제조 산업에서 DI/DX 이니셔티브에 대해 설명하고 현대오토에버가 정의하고 만들어나가는 SDF에 대해 소개했다.

 

앤드류 엘리스(Andrew Ellis) 로크웰 오토메이션 부사장은 AI를 활용한 자율 제조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와 단계적 접근법을 제시했다.

 

홍석관 헥사곤 MI 부사장은 제조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로봇의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제조산업 자산 DX, DR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과 효율적 로봇 성능 향상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장영재 다임리서치 대표이사는 소·중견 기업의 무인·자율공장 도입 방안을 실증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신공장 설계에서 자동화 구축 시뮬레이션 검증 방식과 기존 공장이 디지털 공장으로 변화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다뤘다.

 

아울러 이번 행사에는 DX/AX 혁신 기술·솔루션과 유스 케이스 등을 소개하는 기술세션이 진행됐다. 해당 세션에서는 생산형 AI 활용 방안, 로봇 AI 기술 및 로보타이제이션 등의 유스 케이스들이 소개됐으며, 제조업의 AI 혁신을 모색하는 기업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김태환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부회장은 생성형 AI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라며 산업지능화 컨퍼런스를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의 생존 전략을 논의하는 장으로 지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