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동차 관세에 이는 파문... "실망스럽다"
▷ 국제금융센터, '미국 자동차 관세 주요내용 및 해외시각'
▷ 미국 수출의존도 높은 국가들에 치명적... 캐나다는 86%를 수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6일,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선언하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미국 자동차 시장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이 유감을 표한 건 물론, 일부는 보복관세도 고려 중에 있다.
국제금융센터의 '미국 자동차 관세 주요내용 및 해외시각'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를 '영구적'으로 규정하면서 예외 협상은 고려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자동차 관세 발표와 함께 미국산 자동차 구매 시 대출을 받을 경우 이자 납부에 대한 세금 공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으며, 이번 조치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윌 샤프 백악관 비서관은 자동차 관세에 힘입어 미국의 세수가 1천억 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세계 민심은 좋지 않다. 캐나다의 카니 총리는 미국의 관세가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며 USMCA 무역협정을 위반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내각과 함께 보복관세 검토에 돌입하며, 캐나다 최대 자동차 산업지역인 온타리오주 주총리는 미국산 자동차를 겨냥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일의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이번 조치가 자유 무역의 '치명적인 신호'라고 지적했으며, 영국 자동차 제조업체 및 무역협회 CEO는 실망스럽다고 전했다.
일본의 이시바 총리는 미국이 모든 나라에 동일한 관세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는 양날의 칼이라는 게 지배적인 시각이다. 자동차 산업의 기반은 고도화된 공급망에 있는 만큼, 미국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며 동맹국과의 무역 긴장감도 고조시킬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 세수를 확대, 쇠퇴한 미국의 산업기반 회복을 도모하고 있으나 대부분 목표 달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관세가 궁극적으로 자동차 생산의 비용을 높여 가격 상승을 불러오고, 소비자 선택의 폭이 줄어들며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중산층과 노동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번 관세의 영향으로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등은 경제적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캐나다는 자동차 및 부품 생산의 80~90%를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내수만으로는 기존 공장의 생산을 감당하기 어렵다. 캐나다의 자동차 및 부품 제조 산업 규모는 제조업 GDP의 무려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용 규모만 50만 명이다. 캐나다는 지난해 130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해 이 중 86%를 미국으로 수출한 바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