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美 경제 둔화 가능성 배제하기 어렵다... 금융·실물 경로에 상당한 파급력

▷ 국제금융센터, '미국 경기 하강의 글로벌 경제 영향'
▷ 달러화 약세에 금리 인상, 주가에 부정적 영향은 물론 신흥국 자본 유출 우려까지

입력 : 2025.03.25 10:36
美 경제 둔화 가능성 배제하기 어렵다... 금융·실물 경로에 상당한 파급력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美 경제지표에서 둔화 시그널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경기하강이 글로벌 주가 하락은 물론 글로벌 교역을 둔화시키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의 '미국 경기 하강의 글로벌 경제 영향'에 따르면, 미국의 경기침체는 금융경로와 실물경로에 상당한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미국의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달러화를 약세시키고 이것이 엔화와 유로화의 강세 요인으로 작용한다. 미국기업의 수익성도 둔화되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글로벌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흥국의 채권 및 외환시장에서 자본이 유출되는 등 외환보유액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위기가 부각될 수도 있다.

 

실물경기와 관련해서는, 금융시장과 고용여건 악화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이 미국의 수입 축소로 이어진다. 공산품과 원자재 수출국이 흔들리면서 전체 교역이 위축되는 것이다. 

 

다국적기업들이 투자를 줄이고, 원유와 천연가스 등 원자재 수요가 둔화되면서 글로벌 교역과 GDP는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국제금융센터는 "아직은 미국 경기의 연착륙 예상이 우세하나 고용과 소비의 급격한 둔화를 수반하는 경착륙 여지를 배제하기 곤란하다"며,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은 물론 자산가격 조정 리스크가 상향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