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부채 사상 최고치... "확장적 재정정책에 기인"
▷ 국제금융센터, '신흥국 부채 역대 최대 배경 및 리스크 요인'
▷ 트럼프發 관세압박 등 복합적인 요인 맞물려 위험 증폭 가능성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말 기준, 신흥국의 총부채가 104조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말에 비해선 11.2% 늘었고, 같은기간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33.6%에서 245.3%로 확대되었다. 글로벌 총부채에서 신흥국 비중이 무려 32.6%로 사상 최고치이다.
국제금융센터의 '신흥국 부채 역대 최대 배경 및 리스크 요인'에 따르면, 신흥국의 부채는 팬데믹 이후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기인한다. 부채의 절대 규모는 여전히 기업 부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2019년 이후 경기부양을 이끈 정부부문의 부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쉽게 말해, 신흥국가들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국채를 다수 발행했다는 이야기이다.
국가 별로는 경기 활성화 정책을 강화한 중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21.9%로 가장 크게 늘었다. 절대적인 부채비중이 늘어난 국가는 브라질(86.9%), 인도(83.2%) 등으로 나타났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불거진 트럼프發 관세 압박이 만기도래 및 이자 비용 증가와 맞물려 신용 위험 및 부채 리스크를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코로나 직후 발행한 회사채와 정부채 등 대부분이 금년 만기도래를 앞두고 있다. 그 규모는 역대 최대 수준인 8.2조 달러로, 전년대비 약 9% 늘었다.
게다가, 글로벌 금리가 높은 상황에서 차환 발행 비용 증가와 외채 부담이 커지며 성장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2025년 주요 20개국 평균 정부의 수입대비 이자지출 비율은 13.3%에 달한다. 2024년(12.3%)보다 높은 수치이다.
특히,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여파로로 對미국 무역 의존도와 수입 관세율 격차가 높은 국가들은 수출 경쟁력을 상실, 부채 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 베트남, 인도, 터키, 브라질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