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3.8% 이내에서 관리"

▷ 금융위원회, '가계부채 점검회의' 개최
▷ "언제든지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될 수 있어"

입력 : 2025.02.28 10:45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3.8% 이내에서 관리"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금융당국이 2025년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3.8%) 내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월별, 분기별 관리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취약계층 등에 대한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가계부채 관리상 유연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7일, 금융위원회 주재로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가계부채 규모와 리스크 수준을 금융권 스스로가 관리하는 기조를 경착시키겠다고 전했다. 지난해 가계부채의 주된 원인으로서 거론되었던 정책대출의 경우에도, 가계부채 관리목표에 맞춰 과도한 쏠림 수요나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보금자리론은 저출생 대응 강화를 위해 다자녀 기준을 완화하고, 소상공인과 지방 등 어려운 분야에 대한 생활안정자금 대출을 재개하기로 하였다. 가계부채를 관리하면서도 대출이 필요한 곳에는 그 길을 열어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최근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에 따라 가계부채 증가세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3단계 스트레스 DSR을 오는 7월부터 시행한다. 구체적인 적용범위와 스트레스 금리 수준은 상황 등을 보아가며 4~5월경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전세대출 및 보증에 대한 제도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보증3사의 전세보증비율을 100% 전액보증에서 90% 부분보증으로 일원화하고, 수도권에 대한 보증비율 추가 인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임차인의 상환능력 및 전세물건지에 대한 심사를 강화함으로써, 전세 수요가 많은 수도권을 면밀하게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曰 "금리여건, 부동산 시장 상황 등에 따라 언제든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은행권 자본규제상의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를 조정하는 등 거시건전성 규제를 필요시 시행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한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