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다트] 견조한 성장세 보이는 크래프톤, 매출 7조 달성 가능할까
▷ 2024년 연간 및 4분기 재무실적 발표, 지난해 총 2조 7,098억 원 매출 거둬
▷ 크래프톤, "PUBG 투자 확대 및 개발비 1조 5천억 원으로 확대"
![[증시 다트] 견조한 성장세 보이는 크래프톤, 매출 7조 달성 가능할까](/upload/84712f4366ba464b80e9c78377a5c416.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국내 게임 산업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기업 중 한 곳은 '크래프톤'이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4분기에 성장세가 잠시 주춤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보면 양호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크래프톤의 2024년 연간 및 4분기 재무실적에 따르면, 4분기에 크래프톤은 6,176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3분기보다 14.1% 감소하긴 했으나,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15.5% 늘었다. 영업이익은 2,15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33.6% 감소, 전년동기대비 31.1% 증가했다.
2024년 크래프톤이 거둔 총 매출은 2조 7,098억 원, 2023년보다 41.8% 성장했다. 2020년~2023년까지의 영업매출이 약 1조 6천억 원 ~ 1조 9천억 원을 기록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성장세다. 이와 더불어 연간 영업이익도 1조 1,825억 원으로 2023년보다 54%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43.6%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기준 1조 3,026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9.3% 뛰었다.
증권가에서는 크래프톤이 지난 4분기에 살짝 흔들리긴했으나, 앞으로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이준하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애널리스트는 2025년 크래프톤의 매출액은 3조 1,702억 원, 영업이익은 1조 3,565억 원을 기록할 것이라 내다보았다. 크래프톤의 주요 매출원인 PUBG IG에 다양한 신작들이 더해질 것이란 근거다.
특히, 모바일 매출보다는 PC 매출이 상당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 예측했다. PC 매출이 2024년 대비 23.2% 성장한 1조 1,603억 원, 모바일 매출은 10.2% 늘어난 1조 8,626억 원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크래프톤의 PC/콘솔 합산 매출 비중은 36.4%로 2021년 22.2%, 2022년 30.7%, 2023년 33.5%의 뒤를 이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콘솔의 매출 비중이 약 4천 4백억 원, PC가 9천 4백억 원으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크래프톤은 자사의 주요 IP인 PUBG를 지속 가능 서비스로 공고화시키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PUBG PC의 게임 플레이를 플랫폼화하고, 이를 콘솔과 모바일로 확장시켜 생태계를 넓히겠다는 것이다.
제작과 퍼블리싱 도전의 양적 확대에 중점을 두고, 향후 5년간 신작 개발비를 약 3천억 원/년 규모로 증대시키는 한편, 매출과 유저를 동시에 끌어당길 수 있는 신규 퍼블리싱 규모를 증가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크래프톤의 2025년 주요 전략은 오는 3월 얼리억세스를 앞두고 있는 라이프 시뮬레이션 PC/콘솔게임 '인조이', 2월에 미국과 캐나다를 대상으로 소프트 런칭에 돌입하는 모바일 RPG 게임 '블루홀' 등이 있다.
크래프톤은 "소수의 빅프랜차이즈 IP 확보를 위한 공격적 제작에 투자하겠다"며, "중장기 계단식 성장으로 5년 내 전사 매출 7조 원, 기업가치는 2배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대해 이준호 애널리스트는 "2024년 연간 매출액이 2조 7,098억 원임을 고려했을 때, PUBG IP의 향후 5년간 연평균 9.2% 성장에 현재 PUBG 수준의 IP를 발굴하거나, 이에 준하는 빅 프랜차이즈 IP 2~3가지를 확보해야 달성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크래프톤이 5년간 1.5조 원의 개발비를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만큼, 이 애널리스트는 크래프톤의 '블랙 버짓'과 '눈물을 마시는 새'가 잠재적으로 높은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규모의 게임으로 예상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