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다트] '기아'의 자신감... 올해 목표 320만 대
▷ 지난해12월, 기아 240,537대 판매대수 기록... 해외시장 선전
▷ 국내보다 해외시장에서 공격적인 목표 제시
최근 기아가 발표한 4m 이하 콤팩트 SUV '시로스'의 모습, 인도에서 최초 공개했다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3일 발표된 기아의 영업(잠정) 실적에 따르면, 12월 한 달 동안 총 240,537대의 자동차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성적보다는 다소 부진(-9.0%) 부진했으나,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11.8%의 성장세를 보였다.
2024년 동안 판매한 누적 자동차 판매대수는 3,089,457대로 2023년보다 0.1% 증가했다.
눈에 띄는 점은 기아가 내수시장보다는 해외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기준 해외 판매대수는 193,887대로 전년동기대비 14.2% 늘어난 반면, 내수시장에선 46,070대로 2.8%의 성장률에 그쳤다.
이를 바탕으로 기아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2025년도 영업실적 목표로 총 3,216,200대를 제시했다. 국내에서 550,000대, 해외에서 2,658,000대, 특수사업에서 8,200대를 판매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자동차 시장의 트렌드는 '친환경차'로, 기아 자신감의 근원이다. 하나은행의 '글로벌 친환경차/2차 전지 Montly'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를 합산한 친환경차의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14% 증가한 124,489대를 기록했다. 현대차가 65,764대, 기아가 58,725대를 기록했는데, 전년동기대비 기아차의 판매 성장률이 20%로 현대차(8%)를 상회했다.
기아의 EV6 11월 소매판매량은 5,183대로 미국(1,887대)과 유럽(1,534대)에서 선전했으며, EV9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기아의 목표 달성이 쉬운 과제는 아니다. 11월 전기차 시장 내 기아의 점유율은 1.2%에 불과한 데다가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중국 위주로 성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시장 내에선 상대적으로 한국 완성차들의 비중이 사실상 전무하기 때문이다.
하나증권 리서치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한국 완성차들의 점유율은 11월 누적 3.2%에 불과하지만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9.0% 점유율을 기록"했다며, 유럽과 미국 시장의 성장률은 비교적 부진했다고 짚었다.
핵심은 미국과 유럽 전기차 시장의 향방이다. 유럽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전기차 판매를 늘려야 할 유인이 커졌고, 독일/프랑스 등 상대적으로 시장이 큰 국가에서 보조금이 재개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주요 완성차들이 저가 전기차 모델의 투입을 늘리면서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전기차 성장률이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하나증권 리서치센터는 미국 내 보조금 정책의 수정 가능성, 유럽 내 보조금 재개 여부 등 정책적 변화에 따른 시장 변동은 존재한다면서도, "현대차/기아는 신차 투입 등을 통해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판매가 회복되면서 점유율의 상승하고,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기아의 주가는 3일 종가 기준으로 100,700원에 거래되었으며, 전일대비 0.89% 감소한 가격이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