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 전기대비 0.1% 증가
▷ 농림어업, 광공업 성장하긴했으나 건설업 여전히 부진
▷ 실질 국민총소득(GNI)는 전기대비 1.4%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수출에 비해서 저조한 수준이다.
경제활동 별 국내총생산에 따르면, 농림어업은 전기대비 2.4% 증가했다. 농축산업 및 관련서비스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3.3% 늘어난 반면, 어업은 수산어획과 수산양식이 모두 감소해 13.3% 줄어들었다.
광공업의 성장률은 전기대비 0.2% 증가에 그쳤다. 제조업이 전기대비 0.2% 증가하긴 했으나, 광업이 1.3% 감소했다.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의 3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경제활동 중 가장 큰 규모(5.9%)를 기록했다. 전기업과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의 생산이 늘어난 탓이다.
건설업은 여전히 부진하다. 전기대비 1.4% 감소했는데, 특히 '주거용'의 경우 무려 5.9%나 줄어들었다.
서비스업의 3분기 국내총생산은 전기대비 0.2% 증가했다.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이 부진했고, 운수업은 육상운송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건설업의 침체로 부동산업이 부동산 개발 및 공급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0.8% 줄어들었다.
국내총샌산에 대한 민간소비지출은 전기대비 0.5% 늘었다. 재화와 서비스 소비가 모두 증가한 탓이다. 정부소비지출은 전기대비 0.6% 증가했는데, 건강보험급여비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
눈에 띄는 건 '투자' 분야다. 설비투자는 전기대비 6.5% 증가한 반면, 건설투자는 3.6% 감소했다. 건물건설이 주거용과 비주거용이 모두 줄어 4.6% 하락했고, 토목건설은 철도 등을 중심으로 0.8% 감소했다.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경색된 듯한 모습이다.
실질 국민총소득(GNI)는 전기대비 1.4% 상승했다.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14.2조 원)이 축소되고,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9.2조 원으로 늘어난 덕분이다.
★국외순수취요소득: 한 나라의 국민이 해외에서 노동, 자본 등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국외 수취 요소 소득'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노동, 자본 등을 제공한 대가로 지급한 국외 지급 요소 소득을 뺀 값. 쉽게 말해,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에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얻은 소득을 제외한 값이다
총저축률은 34.4%로 전기대비 0.8%p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감소한 반면 최종소비지출은 증가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총투자율은 29.9%로, 전기대비 0.8%p 하락했으며, 국외투자율은 4.6%로 0.1%p 늘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