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 돌입... "비상수송대책 추진"
▷ 국토교통부,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 가동
▷ 광역전철 운행률 출근시간대 90%
▷ 서울시, 약 1만 3천여명 인력 확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철도노조와 코레일 간 협상이 결렬된 가운데, 철도노조가 5일, 교통공사 노조가 오는 6일 파업을 예고했다.
이에 대비해 국토교통부가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는 한편,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이용 수요가 많은 출퇴근시간 대의 광역전철과 KTX에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집중 투입, 열차 운행률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광역전철 운행률을 평시대비 76% 수준, KTX 운행률은 평시대비 67% 수준에서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광역전철 운행률은 유연하게 운영한다. 이동 수요가 적은 낮 시간대에는 운행률을 줄이고, 이용객이 많은 출근시간대에는 90%, 퇴근시간대에는 85%로 운행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曰 "비혼잡 시간대에는 운행률이 감소해 열차간 운행시격이 벌어져 열차 이용이 다소 불편할 수 있으므로 평소보다 여유있게 출퇴근하거나 버스 등 타 교통수단 이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버스의 경우, 국토교통부는 대체 버스 운행 대수를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필요하다면 고속버스와 전세버스도 추가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내 이동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택시들의 사업구역 외 영업을 한시적으로 허용한다.
서울시는 시내버스 등 대체 수단을 추가로 투입해 수송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시내버스는 343개 일반노선의 출, 퇴근 집중배차 시간대를 평소보다 1시간씩 연장한다. 이에 따라, 출퇴근 시간 동안 약 6,448회 증회 효과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1~8호선 지하철의 경우, 6일부터 노동조합 파업에 실시되어도 출근 시간대에는 100% 정상 운영된다. 퇴근 시간대는 2호선, 5~8호선이 정상 운영되어 총 운행률 86% 수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철도공사와 교통공사 노조 파업이 동시에 진행될 경우, 시내버스를 통해 수송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미운행 중인 시내버스 예비 및 단축 차량을 174개 노선에 모두 투입, 평소보다 1,615회 증회 운행한다.
서울시는 지하철 안전 관리를 위해, 약 1만 3천여명의 인력을 확보하여 지하철 수송기능을 유지, 서울시 직원 124명을 역사지원 근무요원으로 배치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 曰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파업 사전부터 가능한 모든 수송력을 동원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