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가장 일하고 싶은 공기업 1위는?...7년 연속 '이곳'
▷인천국제공항공사 7년 연속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공기업 선정
▷2위 한국전력공사, 3위 한국공항공사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7년 연속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공기업’에 선정됐습니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는 구직 중인 전국 대학생 962명을 대상으로 ‘2024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공기업’ 설문 조사한 결과를 8일 공개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알리오(ALIO)’에 공시된 시장형 ·준시장형 총 32개 기관입니다.
이번 조사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4.3%를 기록하며, 2018년 조사 이래 7년 연속으로 부동의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를 선택한 이유로는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
이미지’가 23.2%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어 ‘관심 업종’ 15.2%, ‘구성원으로서의
자부심’ 14.5%,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제도’ 12.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한국전력공사(8.7%) 또한
7년 연속 2위를 기록했습니다.
해당 기업을 선택한 이유는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 이미지’ 22.6%, 고용 안전성 22.6%이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한국공항공사와 한국철도공사는 지난해와 순위가 엇갈렸습니다.
우선, 한국공항공사(6.8%)는
작년 조사 대비 한 단계 오른 3위를 기록한 반면, 한국철도공사(6.2%)는 지난해보다 한 계단 떨어진 4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조폐공사(5.7%)는 5위로
작년 순위를 유지했으며, 해당 기업을 뽑은 이유로는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 이미지(21.8%)와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제도(21.8%)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6위는 한국마사회(5.0%),
7위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4.7%)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마사회는 지난해보다 두 단계 올랐으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또한
작년 대비 세 단계 상승했습니다.
올해 10위권에 새로 안착된 공기업으로는 한국가스공사(4.5%), 한국토지주택공사(3.5%), 강원랜드(3.4%)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가스공사는 8위를 기록하면서 3년
만에 10위권에 진입했습니다.
해당 기업을 뽑은 이유로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제도(27.9%)’가 가장 많았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작년 10위권에 들지 못했지만, 올해 9위를 차지했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를 선택한 이유로는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 이미지(23.5%)’,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제도(14.7%)’, ‘본인의
성장 및 개발 가능성(14.7%)’ 등을 꼽았습니다.
10위를 차지한 강원랜드는 지난해
15위에서 다섯 단계 상승해 3년 만에 10위권
재진입에 성공했습니다.
기업 선호 이유로는 ‘관심 업종(24.2%)’과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제도(24.2%)’가 꼽혔습니다.
성별별로 일하고 싶은 공기업의 경우, 남성의 11.6%가 한국전력공사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인천국제공항공사(9.4%), 한국철도공사(6.6%), 한국석유공사(5.8%), 한국조폐공사(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인천국제공항사(17.4%)가 가장 일하고 싶은 공기업에
꼽혔습니다.
이어 한국공항공사(8.0%), 한국전력공사(7.0%), 한국철도공사(6.0%), 한국조폐공사(5.8%)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