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8년 만에 돌아온 '광화문 촛불'

▷ 민변∙참여연대 등 주요 단체 참여
▷ 광화문-용산 4.4km 행진

입력 : 2024.12.04 23:36 수정 : 2024.12.05 08:39
8년 만에 돌아온 '광화문 촛불' 서울역 앞을 행진하는 집회 참가자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참여연대∙민주노총∙군인권센터 등 주요 시민단체와 노조가 4일 저녁 6시께 광화문에서 '윤석열 퇴진 촛불집회'를 열었다.

 

광화문에서 촛불 집회가 열리는 것은 '박근혜 퇴진운동' 이후 8년 만이다.

 

한상희 참여연대 사무총장은 한국에서 계엄은 피와 눈물의 역사를 의미한다며, "우리 역사를 망친 바로 그 계엄을 윤 대통령이 했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요건이 충족됐는지 여부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로, "국민을 상대로 총칼을 들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가 천인공노할 범죄"라고 강조했다.

 

또한 헌법에 따르면 비상계엄에도 국회 권한은 제한할 수 없게 돼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제 윤 대통령을 "대통령이라 할 수 없고 반국가단체의 수괴, 범죄자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말하는 '반국가세력'은 "한국 사회를 변화∙발전시켜 온 위대한 시민"이라고 밝혔다. 또한 "계엄 선포 이후 30시간이 넘도록 보도 투쟁을 해 온 언론인들에게 힘찬 박수를 보내달라"고 시민들에게 말했다.

 

이어 "이제 윤석열은 대통령이 아니"라며 그가 대통령직을 참칭하고 있으며 대통령실을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후 시민들의 자유발언이 이어졌다. 대학생 A씨는 지난밤 한숨도 못 잤다며, "책에서 봤던 계엄을 실제 겪어보니 불안하고 화가 났다"고 밝혔다. 계엄 포고령의 내용을 보면 윤 대통령은 국회나 시민을 자신의 소유로 보는 것 같다며, "윤 대통령이 자기 것이라 착각하는 그 권력은 국민의 것"이라고 말했다.

 

주최 측은 "퇴근 시간을 피해 8시부터 행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주최 측 추산 1만여명의 집회참가자는 광화문 동화면세점부터 용산 대통령실까지 약 4.4km를 행진했다.

 
이필립 사진
이필립 기자  kopja93@wisdot.co.kr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