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韓 산업 활기에도... "일시적 반등"

▷ 8월 기준 전산업생산 1.4% ↑, 소매판매 1.7% ↑
▷ 해외 주요 IB,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반등"... 추석 연휴 등에 영향 받아

입력 : 2024.10.01 11:34 수정 : 2024.10.01 11:34
韓 산업 활기에도... "일시적 반등"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우리나라의 수출이 활기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 8월 국내 전산업생산과 소매판매는 크게 반등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광공업 및 서비스생산을 중심으로 전산업생산은 전월대비 1.4% 증가했고, 이와 같은 증가세는 지난 4월 이후 4개월 만이다. 

 

특히, 광공업 생산이 전월대비 4.1% 늘었는데, 자동차(+22.7%)와 반도체(+6.0%) 생산의 활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 서비스 생산의 경우 전월대비 0.2%의 성장률을 보였고, 도소매, 숙박 및 음식점 등에서 생산이 증가했다.

 

그간 부진했던 우리나라의 소비 역시 내구재와 비내구재 모두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7% 늘었다.

 

반면, 투자는 여전히 부진하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각각 전월대비 5.4%, 1.2% 줄어들었다.

 

국제금융센터는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은 8월의 한국 산업활동 개선이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반등일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설명했다.

 

8월 제조업 생산과 가동률은 여름휴가 등 일시적으로 작용했던 부정적 요인이 소멸되면서 회복세를 보였고, 소매판매는 추석 연휴의 효과를 받았다는 것이다. 

 

더욱이, 블룸버그 등에선 8월 광공업 생산 실적이 기대치(5.2%)보다 약하게 반등한 것으로 평가하면서 3분기 한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하방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출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다. HSBC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중국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등이 글로벌 수요를 점진적으로 개선시켜 한국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AI 및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며, 중국정부의 경기부양책이 한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설명이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