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빅 컷' 기대감 하락
▷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동월대비 2.5% 늘어
▷ 주거비는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
▷ 국제금융센터, "연준의 점진적 금리인하 가능성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한 가운데,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FOMC가 향후 금리를 얼마나 인하할 것인지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8월 기준, 미국의 휘발유
가격과 가스비가 하락하면서 에너지가격은 약세로 전환되었으며, 식품가격은 오름세가 0.2%에서 0.1%로 둔화되었다.
상품 물가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 반면, 주거비는 1월 이후 가장 크게 늘면서 서비스 가격의 상승세를 견인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중고차, 가정용 가구, 교육 및 통신, 의료기기 등 전반적인 상품 가격이 떨어지는 가운데
자가주거비와 숙박비가 크게 늘었다. 비주거 서비스 중에선 의료비와 금융서비스 비용이 떨어졌지만 자동차
보험 및 항공료가 대폭 증가했다.
침체했던 미국 증권시장은 상승세를 보였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주가는 CPI 발표 직후 빅컷(Big Cut), 즉 미국 연준이 금리를 50bp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하락했다. 다만, 최근 부진을 거듭하던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상승 마감했다. 10년물 국채금리의 경우, 미국 근원물가상승률이 3.2%로 전월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상승했고, 달러화는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약화로 인해 강세를 보였다.
국제금융센터 역시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주거서비스 등 일부 항목의 경직성이 확인되면서 디스인플레이션 속도 둔화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연준의 점진적 금리인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했다. 일부 변동성이 높은 항목들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있으나 주거비가 고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가주거비(OCR)이 연초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하면서, 향후 주거서비스 물가의 둔화 속도가 부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국제금융센터는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결과에 따라, 9월 연준에선 금리를 25bp 인하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노동시장의 냉각 징후가 뚜렷해진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하방경직성에 대한
경계로 연준의 신중한 접근 방식이 지속될 가능성이 우세해짐에 따라 9월 25bp 금리인하 전망이 크게 강화”되었다는 설명으로, 연준이 금리를 과감하게 인하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는 뜻이다.
국제금융센터 曰 “디스인플레이션 속도에 대한 경계감과 노동시장 냉각
심화 우려, 11월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 등이 혼재되어 9월 FOMC ~ 11월 FOMC 때까지 금융시장이 높은 변동성을 유지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