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역사를 한눈에…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세 번째 GSOK 정책백서 발간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그 절반의 성공의 역사' 발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역사와 자율규제의 가능성과 개선점 확인하는 기회 될 것"
									(출처=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내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를 통시적으로 정리한 백서가 출간된다.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는 19일 세 번째 GSOK 정책백서인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그 절반의 성공의 역사’를 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그
절반의 성공의 역사’는 국내 게임산업에서 주요한 비즈니스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확률형 아이템의 자율규제
역사를 설명합니다.
최초 자율규제가 시행된 2008년부터 정부 규제로 자율규제가 마무리
된 2024년 3월까지의 모든 과정을 조명하고, 그간의 성과와 한계를 정리했다. 
백서는 확률형 아이템의 의미와 역사, 자율규제의 정의와 유형을 설명하고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및 자율규제기구가 어떤 형태로 운영되었는지 기록·정리했다.
또한, K-GAMES가 발표한
2008년의 자율규제안부터 2015년 자율규제 확대안과 자율규제 평가위원회의 출범에 이르는
기간에 발생한 사건을 시계열 순으로 살펴봤다.
아울러 2018년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의 창립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된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의 진행 과정과 더불어, 자율규제 기간 동안 발생한 논란 및 대응 등도 기록됐다.
마지막으로는 2024년 3월
시행된 확률정보 공개 의무 법제화와 통과 이후의 상황을 정리하며, 자율규제와 인증제도의 성과 및 한계를
설명했다.
황성기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의장은 이번 백서가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보는 동시에, 자율규제의 가능성과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는 앞으로도 게임산업의 건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자율규제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