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 개막

▷국제 컨퍼런스·글로벌 쇼케이스 등 준비

입력 : 2024.08.08 17:07 수정 : 2024.08.08 17:14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 개막 제15회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오늘부터(8일) 개막해 10일까지 개최된다. 사진=에듀플러스위크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제15회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오늘부터(8일) 개막해 10일까지 개최됩니다.

 

주최 측은 올해 영국, 프랑스, 독일, 노르웨이, 터키,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일본, 베트남, 몽골, 중국 등 15개국에서 30여개의 에듀테크 업체들이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업체들은 인공지능 기술, 디지털교과서, 에듀테크 등의 제품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쇼케이스(Global Showcase) 특별관과 전시장 B블럭 전시구역에 주로 위치해 있습니다.

 

세계 정상급 에듀테크 전문가를 직접 만나는 행사도 있습니다. 8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미래배움터에서 열리는 ‘인공지능 시대의 글로벌 에듀테크 정책’ 국제 컨퍼런스입니다. 에듀테크 정책 선도국가인 ‘영국 에듀테크 생태계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해 에듀테크 임팩트 CEO인 마이클포셔(Michael Forshaw)가 강연을 들려줍니다.

 

미국의 1조원 가치 온라인 교육플랫폼 아웃스쿨의CFO인 카필 아그라웰(Kapil Agrawal)이 ‘미국의 온라인 교육 현황 및 시사점’, 싱가포르 에스지테크 의장인 알렉스 응(Alex Ng) ‘동남아시아의 에듀테크 산업 조망’, 일본 온라인교육산업협회 키시다 토오루 회장은 ‘일본 디지털교과서 프로젝트의 현황과 성과’, 일본전자출판협회시모카와 카즈오 부회장이 ‘일본 에듀테크 산업의 현황과 과제’, 몽골 투므르 오치르 전 국회의장의 ‘몽골 에듀테크 시장 연구’ 등 강연이 연속적으로 진행됩니다.

 

8일 저녁에는 연사들과 함께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갈라디너’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해외교육기관 및 에듀테크 업체들과의 수출상담회도 바이어라운지에서 진행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내전시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해외바이어를 초청하여 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에듀테크기업들과 상담을 주선합니다.

 

주최 측은 영국 Bett, 미국 ISTE, 싱가포르 Edutech ASIA에 견줄 수 있는 국제행사로 키우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4 에듀플러스위크 미래교육박람회는 15개국 207개 교육기업·기관·단체가 참가로 내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홀에서 열립니다. 인공지능(AI) 학습, AI 코스웨어, SW교육, AR·VR,STEAM, 에듀테크, 가상체육, 온라인학습, 그린스마트스쿨, 스마트교실, ICT기자재, 학교시설,교육용품, 방과후학습, 체험교육, 보드게임 등의 2천여 아이템과 솔루션이 전시됩니다.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