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2명 중 1명 "올해 취준 비용 늘었다"
▷취준생 52% '작년에 비해 취업 준비 비용이 늘었다'
▷가장 비용 부담이 큰 항목은 '카페, 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1년 이상 장기 취준생의 절반 이상이 올해 취업준비(취준) 비용이 늘어났다고 느끼고 있고, ‘카페, 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에 대한 비용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취업을 1년 이상 준비한 구직자 1473명을 대상으로 ‘취업 준비 비용’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9일 공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 52%가 ‘작년에
비해 취업 준비 비용이 늘었다’라고 응답했으며, 이어 ‘작년과 비슷하다’ 40%, ‘작년에 비해 줄었다’는 8%로 집계됐습니다.
취업 준비 비용이 늘어난 가장 큰 원인으로는 ‘취업의 장기화(60%)’가 꼽혔습니다.
이는 구직난으로 길어진 취업 기간에 경제적 부담이 더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어 ‘경쟁률이 높아서’가 44%로 뒤를 이었고, ‘전반적인 취업 물가가 올라서’도 27%를 차지했습니다.
구직자가 월평균 취업 준비에 사용하는 비용으로는 ‘10~30만 원’이 34% 작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음으로는 ‘10만 원 미만’이 27%, ‘30~50만 원’이 25%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50~100만 원’을 선택한 비중도 10%를 차지했습니다. ‘1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중은 4%로 나타났습니다.
비용 부담이 가장 큰 항목 1위는 ‘카페, 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33%)’가 차지했습니다.
이어서 ‘학원비, 온/오프라인 강의 수강료’가 26%, ‘자격증 취득비’가 22%로 나타났으며, ‘서적, 학용품 등 물품 구매비(9%)’, ‘대외활동, 동아리 등 활동비(5%)’, ‘정장, 교통, 숙박 등 면접비(5%)’가 뒤를 이었습니다.
취업 준비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가족의 지원’이 36%로 가장 많았고, ‘아르바이트’도 32%로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어 ‘모아두었던 개인 자금’이 13%였으며, ‘정부 보조금(7%)’,
‘인턴(7%)’, ‘장학금(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구직자에게 취업
비용은 큰 부담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라며 “캐치는 이러한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 취준생 무료 캐치카페를 운영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