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화와 함께 기대감 커지는 AI 기술…국민 10명 중 6명 “AI 위협보다 이점 커”
▶챗GPT 등장과 함께 AI 기술 대중화… 관심 ‘집중’
▶국민 10명 중 6명, “AI 기술 이점이 위협보다 커”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의 등장과 함께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혁신 기술로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AI가
대중화되면서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가 인사이트엠(Insight M)을
통해 공개한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1050세대 국민 10명
중 4명은 이미 생성형 AI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10대가 49%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고, 이어 20대 46%, 30대 37%, 40대
42%, 50대 36%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광고·마케팅 업계에서도 텍스트·이미지·영상·음악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해 광고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메조미디어는 “제품 이미지를 음악으로 변환하여 광고의 BGM으로 사용하고, 영상의 장면들을 AI로 그려내는 등 활용 범위가 다양하다”라며 “이에 대한 소비자의 주목도는 높지 않지만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우수한 사례들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 AI가 만든 광고 텍스트·이미지·영상·음악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목도는 보통이다(텍스트 51%, 이미지 49%, 영상 49%, 음악
49%)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메조미디어는 생성형 AI 광고시장
규모는 현재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10년 간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리포트에서 생성형 AI 글로벌 광고시장 규모는 2022년 0.6억 달러 수준이지만,
매년 125% 꾸준한 증가 추세가 예측돼 2032년에는 1925억 달러, 한화로 약 25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정부가 진행한 대국민 설문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이 “인공지능 기술 이점이 위협보다 크다”는 것으로 조사돼 AI에 대해 절반 이상의 국민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후속 조치로서, 지난 6~7월에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집중적으로 공론화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고 7일 전했습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5월 개최된 ‘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의 논의를 이어받아 안전, 혁신, 포용의 인공지능 시대를 열기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와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공개토론회 및 공동토의(콜로키움)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왔습니다.
먼저,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국민들의 57%가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55% 국민은 안전한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서 규제보다 혁신이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가장 중요한 정부 정책으로 34%의
국민들이 인공지능법 제정 및 윤리기준 마련을 꼽았습니다.
이번 대국민 설문조사는 6월 12일부터 7월 12일 약 한 달간 진행되었으며, 총 765명의 국민이 참여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8~9월에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주제로 집중 공론화를 시작합니다.
올해는 인공지능의 안전·신뢰·윤리 확보(6~7월), 디지털 접근성 제고(8~9월),
인공지능 기반 첨단 조작기술(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대응(10~11월),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12~’25년 1월) 순서로
한 주제씩 집중하여 공론화를 추진합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논의 주제인 디지털 접근성 강화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와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8월 7일부터 9월 6일까지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진행합니다.
대국민 설문조사에서는 디지털 접근성 향상의 장애요인,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민간 기업의 노력, 대체 수단이 필요한 분야 등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또,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는 누구나 법제도, 역량 교육, 산업, 포용문화
측면에서 자유롭게 정책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오프라인에서는 디지털 접근성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모여 전문가 및 인플루언서와 함께 토론하는 ‘디지털사회 공개 토론회’와 ‘디지털
심화쟁점 공동토의’도 9월 중 개최할 예정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