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화와 함께 기대감 커지는 AI 기술…국민 10명 중 6명 “AI 위협보다 이점 커”
▶챗GPT 등장과 함께 AI 기술 대중화… 관심 ‘집중’
▶국민 10명 중 6명, “AI 기술 이점이 위협보다 커”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의 등장과 함께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혁신 기술로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AI가
대중화되면서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가 인사이트엠(Insight M)을
통해 공개한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1050세대 국민 10명
중 4명은 이미 생성형 AI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10대가 49%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고, 이어 20대 46%, 30대 37%, 40대
42%, 50대 36%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광고·마케팅 업계에서도 텍스트·이미지·영상·음악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해 광고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메조미디어는 “제품 이미지를 음악으로 변환하여 광고의 BGM으로 사용하고, 영상의 장면들을 AI로 그려내는 등 활용 범위가 다양하다”라며 “이에 대한 소비자의 주목도는 높지 않지만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우수한 사례들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 AI가 만든 광고 텍스트·이미지·영상·음악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목도는 보통이다(텍스트 51%, 이미지 49%, 영상 49%, 음악
49%)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메조미디어는 생성형 AI 광고시장
규모는 현재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10년 간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리포트에서 생성형 AI 글로벌 광고시장 규모는 2022년 0.6억 달러 수준이지만,
매년 125% 꾸준한 증가 추세가 예측돼 2032년에는 1925억 달러, 한화로 약 25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정부가 진행한 대국민 설문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이 “인공지능 기술 이점이 위협보다 크다”는 것으로 조사돼 AI에 대해 절반 이상의 국민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후속 조치로서, 지난 6~7월에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집중적으로 공론화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고 7일 전했습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5월 개최된 ‘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의 논의를 이어받아 안전, 혁신, 포용의 인공지능 시대를 열기 위해 대국민 설문조사와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공개토론회 및 공동토의(콜로키움)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왔습니다.
먼저,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국민들의 57%가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55% 국민은 안전한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서 규제보다 혁신이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가장 중요한 정부 정책으로 34%의
국민들이 인공지능법 제정 및 윤리기준 마련을 꼽았습니다.
이번 대국민 설문조사는 6월 12일부터 7월 12일 약 한 달간 진행되었으며, 총 765명의 국민이 참여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8~9월에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주제로 집중 공론화를 시작합니다.
올해는 인공지능의 안전·신뢰·윤리 확보(6~7월), 디지털 접근성 제고(8~9월),
인공지능 기반 첨단 조작기술(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대응(10~11월),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12~’25년 1월) 순서로
한 주제씩 집중하여 공론화를 추진합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논의 주제인 디지털 접근성 강화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와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8월 7일부터 9월 6일까지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진행합니다.
대국민 설문조사에서는 디지털 접근성 향상의 장애요인,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민간 기업의 노력, 대체 수단이 필요한 분야 등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또,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는 누구나 법제도, 역량 교육, 산업, 포용문화
측면에서 자유롭게 정책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오프라인에서는 디지털 접근성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모여 전문가 및 인플루언서와 함께 토론하는 ‘디지털사회 공개 토론회’와 ‘디지털
심화쟁점 공동토의’도 9월 중 개최할 예정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비둘기는 싫다면서 지들은 음료수마시고 빈통은 길거리 아무대나 버리고 남의집 담에도 올려놓고 담배 꽁초가 동네를 다 덮으며 길가면서 피고다니는 담배가 비흡연자는 얼마나 고약한냄새로 괴롭히는지 아십니까 이렇게 인간들은 지들 멋대로라며 여러사람에게 불편하고 고통스럽게 피해를 주면서 양심없는 소리 이기주의자같은 인간의 소리가 더 혐호스럽네요 비둘기의 생명들은 보호받으며 함께 우리와 함께 살아야 하는 약한 개체입니다 새벽마다 개들이 운동하러나오면 얼마나 많은 소변을 길에다 싸게하는지도 아십니까 애완용1500만 시대입니다 변도 치우지도 않고 이곳저곳에 널부러져 있습니다 비둘기 보호는 못해도 몇천명의 하나인 인간이 측은지심을 주는 모이도 못주게 법으로 막는다는게 무슨 정책며 우리는 같은 국민입니다 작은 생명부터 귀히 여겼으면 좋겠습니다 생명에는 높고낮음 없이 평등하기를 바라고 우리는 인간이기에 선행과 이해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함께 살수있도록들 도와주세요
2정 많은 민족 대한민국 사람들이 88올림픽 한다고 비둘기 대량 수입하더니 세월 흘러 개체수 늘어났다고 이제는 굶겨 죽이려 먹이주기 금지법 시행한다니 독한민국 인간들이네요.
3비둘기가 똥을 싸니까, 그런 비 논리로 비둘기를 혐오하는 천박함은 이제 버리세요. 당신은 똥 안 쌉니까. 당신의 똥은 오대양 육대주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당신이 쓰는 모든 비닐류 제품은 당신과 당신의 자자손손에게까지 위해를 끼치죠. 비둘기가 지구를 오염시킨다는 소리는 여태 못 들어 봤습니다. 기껏 꿀벌이나 하루살이 또는 다른 새들과 함께 당신의 차에 똥 몇 방울 떨어뜨릴 뿐입니다. 지구에 결정적으로 <유해>한 것은 오로지 인간밖에 없습니다. 어쨌든 소위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께서 너그러이 비둘기에게 불임 모이를 권해 주세요. 만물의 영장이라면 모름지기, 관용과 연민은 기본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조물주께서,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실 겁니다.
4평화의 상징이니 뭐니 하면서 수입하더니 이젠 필요없다고 먹이주기까지 금지시키다니,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으로서 부끄럽지 않나요? 인간의 패악질이 아니라면 있을 수 없는 부끄러운 법안입니다. 당장 먹이주기 금지법 철폐하고 다른 대안인, 불임모이주기를 적극 실시하면 서로 얼굴 븕히지 않아도 되니 좋지 않은가요? 밀어붙이기식 졸속 행정이 언제나 어디서나 문제입니다.
5제발 시류좀 읽고 정책 좀 냈으면 하네요. 아직도 다 밀어버리고 묻어버리고 이런 야만적인 정책으로 가려고 하나요. 밥주기 금지라니 별의별 미친 정책이 다 나오네요. 더군다나 해결책이 있고, 이미 성공하고 있는 해외사례들이 있는데 왜 저런 악질적인 정책으로 밀고 나가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밥주지 말라는게 대안이나 되나요? 민원 해결이 되나요? 밥 안주면 비둘기들이 다 굶어죽기라도 하나요? 동물복지 같은걸 떠나서 개체수 조절에 아무런 영향도 없을것 같은걸 법안이라고 내놓다니.. 한심합니다.
6똥 싼다고 굶겨 죽이고 싶을 정도인가요 유순하고 영리한 개체입니다
7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있다면, 거리에 꽃나무를 모두 다 베어야 하나요? 본인이 싫어하면 모두 다 죽여서 없애야하나요? 불임모이라는 대안이 있음에도 공산당처럼 무조건적으로 먹이를 막는다는 발상이 우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