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말라리아 경보 발령... '삼일열원충' 발견
▷ 올해 말라리아 매개모기 일평균 개체수 6.5마리, 전년보다 증가
▷ 누계 말라리아 환자 총 349명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질병관리청이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지난 7월 30일부터 31일 사이 파주시에서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에서 ‘삼일열원충’(Plasmodium vivax)이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삼일열원충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행하는 말라리아로서, 경기도 북부와 휴전선 부근 중심에서 성행하고 있는데요.
말라리아란, 삼일열원충 등에 감연된 암컷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모기 매개 감염병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말라리아 발생 국가로 매년
300명에서 400명의 환자가 주로 5월에서 10월 사이에 발생하는데요.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오한, 발열,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48시간 주기로 반복됩니다. 심한 경우 40℃ 이상의 고열인 ‘열발작’이라는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글씨를 쓰기 힘들거나
치아가 떨려 말하기 힘들 정도의 오한기와 심한 두통·구토·갈증이
고열과 동반되는 발열기, 체온이 급격하게 정상화되며 땀이 나고 이후 지치고 졸려 잠이 드는 발한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방부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의 개체수 변화 및 감염율을 감시 중에 있으며, 올해는 매개모기
일평균 개체수가 지난해 4.4마리에서 6.5마리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추세상으로 보면 지난 2023년보다 급격한
상승폭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최근 파주시에서 채집한 모기 102마리 중 4마리에서 말라리아 원충을 검출한 상황입니다.
올해 들어 7월 31일까지
군집사례 발생 및 매개모기 개체 수 증가에 따라 총 9개 지역에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된 상태입니다. 서울 양천구와 강서구, 인천 연수구와 강화군, 경기 파주시·김포시·고양시, 강원도 철원군·양구군인데요. 현재까지 말라리아 환자는 총 349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16.9% 감소한 상황입니다만, 말라리아 매개모기 개체 수 증가로
인해 환자 수는 언제든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추정한 주요 감염경로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저녁시간, △야외 체육활동으로 땀이 난 상태에서 휴식할 때 △매개모기의 산란과 생육이 용이한 호수공원 및 물웅덩이 인근에 거주 및 산책하는 경우입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曰 “말라리아 매개모기에서 원충이 확인되었고, 야외활동
증가로 말라리아 환자가 지속 발생 중이므로 위험지역 주민과 여행객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야간활동 자제,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취침 시 방충망을 적극 활용할 것”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