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여야 산다”…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초단축 소비’ 부상
▶메조미디어 '2024년 소비 트렌드 리포트 02. 초단축 소비' 보고서 발행
▶'AI 쇼핑 어시스턴트', '숏폼', '방지형 게임' 등 초단축 소비에 도움되는 서비스 선호경향 뚜렷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가 다양해지면서 한정된 시간을 얼마나 가치 있게 사용하는 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 메조미디어가 30일 발행한 ‘2024년 소비 트렌드 리포트 02. 초단축 소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시간은 곧 돈이자 중요한 자원이며, 나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24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실패의 경험을 줄이고 시간 절약엔 도움이 되는 제품·서비스, 장편보단
짧은 영상 위주의 숏폼 등을 소비하는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선, 시간 효율성을 극대화해주는 ‘AI
쇼핑 어시스턴트’를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AI 쇼핑 어시스턴트는 소비자가 제품을 찾거나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큰 폭으로 절감시켜줘 소비자의 사용성과 만족도를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온라인 커머스에서 고객의 검색 키워드·구매 이력 등을 AI 분석해
최적의 상품을 제안해주고, 24시간 상담도 가능해지면서 편의성을 극대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아울러 AI 어시스턴트를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해당 기능의 지원 여부가
소비자의 쇼핑몰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제로 메조미디어가 410명을 대상으로 ‘AI 어시스턴트 지원 여부가 쇼핑몰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답한
비율은 4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AI 쇼핑 어시스턴트 이용 시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제품 문의 및 상담(5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으로는 ‘SSG닷컴’, ‘에이블리’, ‘롯데ON’ 등이 꼽혔습니다.
아울러 시간을 가치있게 활용하려는 강해지면서 시간 제약 없이 즐길 수 있는 ‘방치형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치형 게임은 플레이 중에도 다른 일을 할 수 있고, 자투리 시간을
틈틈이 활용하기 좋아 시간 투자 대비 높은 성취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리지니와 같은 두터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 IP 또한 방치형
게임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관련 장르의 인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디어 분야에서도 숏폼의 유행과 함께 OTT·유튜브·웹툰 등 엔터테인먼트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콘텐츠 소비 방식도 이전과 달라졌습니다.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것을 볼 수 있도록 유튜브나 OTT 영상을
배속 재생하고, 영화나 드라마 등의 경우, 작품을 요약된
버전으로 시청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진행된 영상 콘텐츠 ‘빨리 감기’ 시청 습관 관련 조사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 빨리 감기’ 시청 경험이 있다’는 70%, ‘다양하고 많은 영상을 보고싶지만 시간은 아끼고 싶다’ 53%, ‘영화·드라마를
짧게 요약해주는 유튜브를 자주 본다’ 50%로 집계됐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