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 가면 이득'라는 속설...사실은 이랬다
▶국민 10명 중 8명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속설 신뢰
▶실제로는 일본 여행 경비가 제주도 대비 2.2배 높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민 10명 중 8명은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라는 말을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속설을 10명 중
8명이 믿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난 29일 밝혔습니다.
다만, 실제 제주도와 일본의 여행 경비를 조사했을 때 일본 여행 시
지출이 제주도보다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말에 대해 88%가 들어본 적 있고, 83%가 가능하다고 봤으며, 70%는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들어본 적 없다’, ‘불가능하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3%, 9%, 8%에 그쳤습니다.
이를 통해 관련 속설에 대해 대다수가 알고 있고, 실제 가능할 것으로
믿고, 취지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말이 보편적인 통념으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3박 4일 일정의 여행비용을
예상해 보게 한 조사에서는 제주도가 86.0만원, 일본이 110.2만원으로 일본이 1.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지만 실제로는
일본 여행비가 제주도의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의 ‘주례 여행형태 및 계획 조사’에서 작년(1~10월) 두
지역 여행자의 평균 지출액은 제주도 52.8만원, 일본 113.6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아울러 제주도-일본 예상 여행비는 일본은 0.97배(-3.4만원)로
거의 일치했지만, 제주도는 +1.63배(_33.2만원)나 큰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즉, 제주도 여행비를 불합리하게 크게 예상하며, 일본과 별 차이 없다고 오인하고 있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제주도 여행을 한 적이 없는 사람의 경우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중 지난 1년 내 제주도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 사람은 여행비로 78.8만원을, 과거 한번이라도 다녀온 적이 있는 사람은 84.6만원을,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사람은 93.5만원을 예상했습니다.
즉, 제주도에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 ‘일본과 제주도 비용에 차이가 없고’, ‘그 돈이면 일본 가는 것이
낫다’는 속설을 만들어 내고 있는 셈입니다.
이에 비해 일본 예상금액은 각각 114.0만원, 110.4만원, 109.9만원으로 방문 경험에 따라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여행 경험이 있는 사람, 최근 가 본 사람일수록
조금씩 더 들 것으로 예상한 점도 제주도와 달랐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여행지 물가와 서비스에 대한 논란은 다반사지만 제주도는
유독 심하다”라며 “최근 몇 달만 해도 ‘비계 삼겹살’ 등 다양한 사례가 매스컴을 달구며 여행 심리를 얼어붙게
했고, 이는 일본여행 붐과 맞물려 ‘제주도 갈 돈이면 일본
간다’는 비논리적인 뇌피셜이 정설인 양 자리 잡게 해 ‘ 그
돈으로 불가능하다’는 상식적 판단을 한 사람이 10명 중 1명도 안 되는 결과를 낳았다”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제주도는 비싸다’는
오래된 선입견과 부정적인 뉴스의 확대 재생산이 만든 합작품이며, 제주도에 안 가본 사람이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이런 비상식적인 인식의 폭이 넓고 뿌리깊다는
점에서 단기간의 해결은 요원해 보여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