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덴마크, 세계 최초로 젖소 '탄소세' 도입
▷ 덴마크 낙농가, 2030년부터 젖소 1마리당 연간 96달러 세금 부담
![[외신] 덴마크, 세계 최초로 젖소 '탄소세' 도입](/upload/da04796102494fa39109b50bc855bc8c.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탄소 감축’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수입품에 세금을 부과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에 힘을 쏟는 등 여러 국가들이 저탄소를 지향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덴마크에서는 세계 최초로 젖소에 ‘탄소세’가 부과됩니다. CNN에 따르면, 앞으로 덴마크 낙농가는 젖소 1마리 당 연간 96달러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농업 분야에서 젖소가 배출하는 트림과 방귀가 큰 탄소 배출원으로 손꼽히는 만큼 그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겁니다.
전 세계 농업의 탄소 배출량은 전세계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합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 따르면, 농업 중에서도 가축을 키우는 일이 환경에 많은 악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습니다. 2015년 기준, 가축 사육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2%를 차지하고 있다는 겁니다. 특히, 젖소 한 마리가 하루에 배출하는 탄소의 양은 약 280L로 알려져 있는데요.
덴마크는 낙농업으로 이름난 국가입니다. 덴마크의 싱크탱크 콘시토(Concito)에 따르면, 덴마크에서 키우는 젖소는 평균적으로 연간 5.6톤에 이르는 탄소를 배출하는데요.
그 심각성을 인지한 덴마크는 오는 2030년부터 가축에 탄소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심지어, 2035년에는 그 세금을 인상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요. 라르스 로케 라스무센(Lars Lokke Rasmussen) 외무장관 “오늘 합의로 우리는 덴마크의 가장 큰 변화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게 되었다”(“With today’s agreement, we are investing billions in the biggest transformation of the Danish landscape in recent times”)며, “동시에, 우리는 농업에 (탄소)세금을 부과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것”(“At the same time, we will be the first country in the world with a (carbon) tax on agriculture”)이라고 전했습니다.
덴마크 정부는 젖소 ‘탄소세’에
대한 농민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며, 60%의 세금 감면을 약속했습니다.
CNN은 “농부들은 2030년부터 가축의 탄소배출량
톤당 연간 17달러의 탄소세를 납부해야 하며, 2035년부터는
43달러로 인상된다”(“Farmers will effectively
be charged $17 per tonne of livestock emissions per year from 2030, rising to $43
in 2035”)고 설명했는데요.
덴마크 정부는 농부들의 젖소 탄소세를 감면해주고, 그 재원을 “농업의 녹색 전환”(“agricultural industry’s green
transition”)에 사용하겠다고 밝혔음에도 농민들의 반발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덴마크
농민단체 베레디히트 렌드부르크(Bæredygtigt Landbrug)는 덴마크 정부의 젖소 탄소세가
“무서운 실험”(“scary experiment”)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피터 키에르(Peter Kiær) 회장은 덴마크
정부가 탁상행정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는데요.
유럽 최대의 유제품 기업, 아라 푸드(Arla Food)의 CEO 페더 투보그(Peder Tuborgh)는 젖소 탄소세 자체는 “긍정적”(“positive”)이지만, 방식이 잘못되었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배출을 줄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genuinely do everything they can to
reduce emissions”) 농업인들에게는 탄소세를 부과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