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국내 패션앱 시장에서 1위 등극…2위는 에이블리
▶국내 패션의류 앱 중 무신사 월간 사용자 수 1위 차지
▶MZ세대 소비자, 10번 중 7번은 온라인 플랫폼 이용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내 패션의류 앱 가운데 ‘무신사’가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일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패션∙의류 앱(Android+iOS) 월간 사용자 분석 결과, 무신사가 사용자 약 50만명을 확보해 1위를 차지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어 에이블리 2위, 지그재그 3위 순이었습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패션의류 앱 월간 사용자 수는 1624만명을 기록했으며,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은 1.46시간이었습니다. 사용자 성비는 여성이 71%, 남성이 29%로 집계됐습니다.
또한 월간 사용자 수 1위는 무신사가 차지했지만, 가장 자주∙오래
사용한 앱은 ‘에이블리’로 분석됐습니다.
‘에이블리’의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은 1.07시간,
사용일 수는 7.7일로 나타났습니다.
‘무신사’ 앱 활성 기기
수는 약 979만대로 1천만대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별로는 여성 57%, 남성 34%로 집계됐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3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지그재그’는 국내 패션의류
앱 가운데 가장 많은 이탈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그재그 4월 이탈 사용자는 약
79만명으로 이들 가운데 39.94%(약 31만명)는 에이블리로 이동했으며, 23.51%(약 18만명)는 무신사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편 MZ세대 소비자들이 패션 상품 구매 시 10번 중 7번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전국 만15~39세 남녀 소비자 4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담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4’에 따르면 패션 제품 구매 시 온라인 활용 비중은 66.9%로
나타났으며, 오프라인은 33.1%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남성 대비 여성이 전반적으로 온라인 이용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설치된 앱개수도 많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20대 여성의 경우 현재 설치된 앱이 평균 약 3.8개로 전체 성∙연령 평균
대비 개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3개월 내 구매 경험으로 살펴봤을 때 무신사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에이블리와 지그재그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무신사와 크림이 남성 전 연령대에서 높은 이용률을 보였고, 10~20대
여성은 에이블리, 지그재그와 29CM∙W컨셉에서는 20~30대 여성의 최근 구매 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