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유통업체 매출 전년 대비 10.8% 증가…글로벌 이커머스 대응 전략 덕분?
▶올해 4월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 대비 10.8% 증가…오프라인 0.2%↓, 온라인 22.2%↑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올해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이 오프라인(-0.2%) 소폭 감소한 반면 온라인은 22.2%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1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4월 국내 주요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개사와 온라인 유통업체 12개사를 대상으로 월간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28일 밝혔습니다.
4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편의점(5.9%), 준대규모점포(3.2%)에서 상승세를 보였지만,대형마트(-6.7%), 백화점(-2.0%)에서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체 매출은 0.2% 감소했습니다.
오프라인 품목별로는 식품(1.7%)∙서비스/기타(5.0%)를 제외한 가전/문화(13.2%)∙아동/스포츠(4.5%) 등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의
경우, 가전/문화(13.2%)∙식품(28.1%)∙생활/가정(19.0%)∙서비스/기타(54.4%) 등 모든 품목에서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온라인 유통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글로벌 이커머스 업계에 대응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개최하면서 패션/의류(-4.1%)를 제외한 식품(28.1%), 생활/가구(19.0%),
서비스/기타(54.4%) 등 모든 품목에서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해 전체 매출이 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통부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오프라인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휴일 감소와 지난해 4월에 집중됐던 대규모점포의
할인행사들이 올해는 분산되면서 전체적인 매출이 감소했으며, 온라인은 글로벌 이커머스 업계에 대응한 다양한
할인행사와 여행∙배달
등 서비스 수요, 간편식 판매가 강세를 보이면서 매출이 상승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초저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가 지난 28일 내놓은 ‘2024년 소비 트렌드 시리즈, 초저가 소비’ 리포트에 따르면 물가 부담이 높아질수록 소비자들은 상품의 여러 요소를 따져보고 조금이라도 저렴한 제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자들이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분석 소비에 피로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소비자들은 의류부터 공구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할인 판매하는 C-커머스를 활용하거나 가성비 높은 제품이라면 브랜드를 과감하게 포기하는 소비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초저가 커머스들의 약진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주요 C-커머스 업체인 알테쉬는 22년
대비 24년 이용자 수가 458% 증가했으며, 중국 직구 시장의 규모는 23년 3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아성다이소 또한 3년간 매장 수를
129개 증가하며, 외형 확대를 하는 동시에, 화장품
카테고리 인기에 힘입어 23년 연매출 3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유통업계의 초저가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도 가격을 강조하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PB브랜드 ‘하이메이드’에서 20만원대 가성비 냉장고를 출시해 가성비와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심리 공략에 나섰으며, 홈플러스는 가성비 높은 대용량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1만원 초반대 가격에 3~4인 가족이 먹을 수 있는 대용량 즉석조리제품
‘대짜’ 3종을 출시했습니다.
이밖에도 11번가는 소비기한이 임박했거나 재고가 과다하게 남은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임박마켓’ 서비스를 오픈했으며, 뷰티컬리는 ‘뷰티컬리페스타’ 기획전을
열고 ‘최저가 챌린지’에 나섰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