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고물가에 미국인 65%의 재정 악화... "보육비 상당한 부담"
▷ CNN, "핸드폰 요금 등 월 청구서를 전액 지불할 수 없을 정도"
▷ 낮은 실업률, 양호한 임금 상승률에도 빈곤 시달리는 미국인 많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고물가로 인해 미국인들의 지갑 사정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NN은 “지난해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65%의 미국인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High inflation made finances worse for 65% of Americans last year”)며, 이를 두고 “파괴적”(“some devastating”)으로 비유했습니다. 미국 성인의 3분의 2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워졌으며, 6명 중 1명은 보험료·핸드폰 요금 등에 대한 월 청구서를 지불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지난해, 연방준비제도가 미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고용, 소득, 주택 등 다양한 경제 분야에 걸쳐 연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 중 72%가 지갑 사정이 “괜찮다”(“doing okay”)고 응답했습니다. 2013년의 최저치(62%)보다는 높지만, 2021년 최고치(78%)보다는 낮은 상황인데요. 참여자 중 65%는 금융 생활이 “악화”되었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19%는 “상당히 나빴다”(“much worse”)고 이야기했습니다.
CNN은 일자리가 늘어나고, 월급이 인상되어 소비가 촉진되는 등 경제적으로 양호한 지표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이 낙관적인 건 아니다”(“not everyone feels that upbeat”)라며, “3년 이상 이어진 강도 높은 인플레이션은 미국인들의 지갑과 정신에 큰 타격을 입혔다”(“Three-plus years of high inflation have taken their toll on Americans’ wallets and their psyches”)고 이야기했습니다. 낮은 실업률, 비교적 안정된 美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과는 별개로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는 미국인들이 여전히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들의 소득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지출도 함께 늘어났습니다.
생활비는 쉽게 고갈되었고, 성인의 절반 이상이 저축의 어려움을 겪었다는 겁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낼 돈이 없어 월 의료비를 체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성인의 42%는 지역경제가 “좋다”(“good”) 혹은 “뛰어나다”(“excellent”)라고 응답했습니다. 전년도의 결과(38%)보다는 양호해졌으나, 2019년(63%)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CNN은 이러한 경향이 국가 경제에서도 똑같이 확인된다고 설명했습니다. 2022년 당시 국가 경제에 대한 국민 인식은 전년도 18%에서 22%로 상승했지만, 2019년(50%)보다는 낮았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보고서에서 특히 강조된 부분은 ‘양육비’입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부모들은 경제 상황을 묻는 질문에 64%가 “괜찮다”(“doing okay”)고 응답했습니다. 2021년(75%), 2022년(69%)에 이어서 계속해서 하락한 겁니다.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의 경우 2023년 지출한 보육비는 부동산 월세의 50~70%에 육박했습니다. 부담이 상당한 셈인데요.
이에 대해 CNN은 “부동산
보험, 충분한 식량, 간병에 이어 보육비가 보고서에서 논의된
새로운 주제 중 하나였다”(“Child care expenses, along with homeowners’
insurance, food sufficiency and caregiving responsibilities, were among the new
topics discussed in the report”)며 그 무게감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