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고물가에 미국인 65%의 재정 악화... "보육비 상당한 부담"
▷ CNN, "핸드폰 요금 등 월 청구서를 전액 지불할 수 없을 정도"
▷ 낮은 실업률, 양호한 임금 상승률에도 빈곤 시달리는 미국인 많아
![[외신] 고물가에 미국인 65%의 재정 악화... "보육비 상당한 부담"](/upload/de45ecd80e734dbfb392763ae0f9508b.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고물가로 인해 미국인들의 지갑 사정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NN은 “지난해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65%의 미국인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High inflation made finances worse for 65% of Americans last year”)며, 이를 두고 “파괴적”(“some devastating”)으로 비유했습니다. 미국 성인의 3분의 2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워졌으며, 6명 중 1명은 보험료·핸드폰 요금 등에 대한 월 청구서를 지불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지난해, 연방준비제도가 미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고용, 소득, 주택 등 다양한 경제 분야에 걸쳐 연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 중 72%가 지갑 사정이 “괜찮다”(“doing okay”)고 응답했습니다. 2013년의 최저치(62%)보다는 높지만, 2021년 최고치(78%)보다는 낮은 상황인데요. 참여자 중 65%는 금융 생활이 “악화”되었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19%는 “상당히 나빴다”(“much worse”)고 이야기했습니다.
CNN은 일자리가 늘어나고, 월급이 인상되어 소비가 촉진되는 등 경제적으로 양호한 지표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이 낙관적인 건 아니다”(“not everyone feels that upbeat”)라며, “3년 이상 이어진 강도 높은 인플레이션은 미국인들의 지갑과 정신에 큰 타격을 입혔다”(“Three-plus years of high inflation have taken their toll on Americans’ wallets and their psyches”)고 이야기했습니다. 낮은 실업률, 비교적 안정된 美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과는 별개로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는 미국인들이 여전히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들의 소득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지출도 함께 늘어났습니다.
생활비는 쉽게 고갈되었고, 성인의 절반 이상이 저축의 어려움을 겪었다는 겁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낼 돈이 없어 월 의료비를 체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성인의 42%는 지역경제가 “좋다”(“good”) 혹은 “뛰어나다”(“excellent”)라고 응답했습니다. 전년도의 결과(38%)보다는 양호해졌으나, 2019년(63%)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CNN은 이러한 경향이 국가 경제에서도 똑같이 확인된다고 설명했습니다. 2022년 당시 국가 경제에 대한 국민 인식은 전년도 18%에서 22%로 상승했지만, 2019년(50%)보다는 낮았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보고서에서 특히 강조된 부분은 ‘양육비’입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부모들은 경제 상황을 묻는 질문에 64%가 “괜찮다”(“doing okay”)고 응답했습니다. 2021년(75%), 2022년(69%)에 이어서 계속해서 하락한 겁니다.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의 경우 2023년 지출한 보육비는 부동산 월세의 50~70%에 육박했습니다. 부담이 상당한 셈인데요.
이에 대해 CNN은 “부동산
보험, 충분한 식량, 간병에 이어 보육비가 보고서에서 논의된
새로운 주제 중 하나였다”(“Child care expenses, along with homeowners’
insurance, food sufficiency and caregiving responsibilities, were among the new
topics discussed in the report”)며 그 무게감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