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범죄 악용 가능성에 대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 10명 중 7명 '우려'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 국내 메신저 이용자 10명 중 7명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텔레그램의 높은 보안성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할 것"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에 대해 국내 메신저 이용자 10명 중 7명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전국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텔레그램 관련 U&A 조사’를 실시한 결과,
텔레그램이 카카오톡, 라인 등 타 메신저에 비해 높은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범죄 악용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9.3%이 평소 전화통화보다
메신저로 소통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났으며, ‘대면 대화’보다도
‘메신저 소통’이 편하다는 비율도 47.2%로 조사돼 텍스트 기반의 소통 방식이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마트폰 메신저 이용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카카오톡이 98.9%로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인스타그램 DM 36.7%, 페이스북
메신저 16.5% 등 SNS 기반의 메신저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20대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인스타그램 DM 이용률(20대 71.5%,
30대 43.0%, 40대 30.5%, 50대 23.0%, 60대 15.5%)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들 세대의 경우 인스타그램 릴스, 스토리 등 콘텐츠를 통한 소통을
활발히 진행하는 만큼 SNS 기반 메신저 활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가운데 텔레그램의 이용률은 13.3%로 매우 낮은 수준에 그쳤으나, 보안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텔레그램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외부 유출 방지 등 보안이 철저할 것 같고(37.6%),
메신저 내용이 기록에 남지 않는다(31.6%)는 점을 꼽혔으며, 특별한 보안이나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목적∙상황에 따라 메신저를 취사 선택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텔레그램 이용자 중 79.7%는 텔레그램을 보조 메신저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만, 텔레그램의 ‘보안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범죄에 취약하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2.1%)이 텔레그램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기능은 다른 메신저 대비 큰 강점이라는 데 공감했지만, 보안이 뛰어나 오히려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가 많고(71.9%) 범죄에
활용된다는 언론 보도나 뉴스로 인해 이미지가 좋지 않다(69.6%)라고 응답 역시 높은 수준으로 텔레그램의
보안성이 잠재적 위험 요소로 여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텔레그램의 전반적인 이미지 평가에서 부정 응답률(좋지 않은
편 56.0%, 괜찮은 편 24.2%, 잘 모름 19.8%)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그 이유로는 주로 마약, 성범죄 등에 활용된다는 언론 보도(76.4%)나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범죄 발생에 대한 우려(68.0%) 등이 꼽혔습니다.
아울러 텔레그램의 보안성은 ‘양날의 검’이라고 답한 비율이 76.1%로 집계돼 텔레그램을 악용한 범죄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텔레그램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텔레그램 이용자에 대한 의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주변에 텔레그램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왜 사용하는지’를 물어볼 것 같다는 응답이 48.8%에 달했으며, 대체로 비밀이 많고(55.1%), 수상한(37.1%), 신뢰할 수 없는(26.3%) 등 텔레그램 이용자를 부정적인
이미지로 연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