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 20일까지 원유 수입 급증... 전년동기대비 43% 증가
▷ 4월 1일 ~ 20일까지 무역수지 26억 달러 적자... 원유 수입 61억 달러
▷ 이스라엘 - 이란 갈등으로 중동 정세 불안 영향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관세청이 발표한 ‘2024년 4월 1일 ~ 4월 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은 358억 달러, 수입은 385억 달러로 각각 전년동기대비 11.1%, 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역수지는 26억 달러의 적자로 나타났는데요. 수출에서 반도체(43%), 승용차(12.8%), 석유제품(14.8%) 등이 좋은 성적을 거뒀으나, 국제유가의 불안을 반영한듯 원유의 수입금액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수입한 원유 금액은 약 61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43% 증가하면서 주요 품목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원유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석유제품의 수입금액도 약 16억 달러로, 원유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폭(42.5%)을 보였습니다.
페트로넷 기준, 지난 22일의 국제원유가격은 전년 동일에 비해 5% 정도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두바이유가 배럴당 86.41달러, 브렌트유는 87달러 등 주요 국제유가가 지난 일주일 사이에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데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로 촉발된 중동의 갈등이 이란까지 확대되면서 국제유가에 불안함을 조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3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개최한 ‘제2차 대외경제자문회의’에서, 여러 중동 에너지 전문가들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직접 충돌이 세계경제에 매우 큰 불확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최 부총리는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인 소통을 제안하는 한편, 전문가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중동 사태 진행상황과 시장동향을 철저히 모니터링하여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범정부차원에서 밀도 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에너지경제연구원 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전개 양상과 중동 정세 변화, 베네수엘라에 대한 미국의 제재 강도, 이란 핵 합의(JCPOA) 복원 여부, 미국 대선 결과 등은 2024년 석유시장 분위기는 물론 수급 밸런스에도
큰 영향을 미치면서 유가의 변동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다만, 지정학적 불안이 더욱 확대되지 않는다면 올해 원유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석유 수요의 증가세, 지정학적
위험, 달러화 약세 등 국제유가에 대한 상방요인과 함께, 석유
공급량의 증가 등 하방요인이 병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24년 국제 원유 시황과 국제 유가 전망’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브라질, 가이아나
등 미주지역 국가들을 중심으로 비OPEC+ 생산 증가는 지난해에 이어
2024년에도 세계 석유수요 증가분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OPEC+가 줄인 석유 생산량을 OPEC에 속하지 않은 다른 나라에서
만회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전망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4년 국제 원유가격은 두바이유 기준 2023년 과 비슷한 배럴당 83.42달러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해 “2024년 석유의 수급에서 불확실하면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은 OPEC+의 생산 정책이 될 것이며, 기준 시나리오에서는 OPEC+가 2분기와 3분기에
걸쳐 감산량을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것으로 가정”했습니다만, OPEC+가
감산 기조를 올해 2분기까지 늘리면서 국제유가의 상승 압력은 높아졌습니다. “달러화 가치는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상반기 중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점차 약세를 보이면서
유가를 상승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으나, 최근엔
예상보다 높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에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후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를 둘러싼 중동의 정세 변화는 국제유가에 변동성을
더하는 핵심 요인으로, 국제유가의 불안정성은 더욱 심화되는 모습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