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다트] HD현대일렉트릭, '변압기' 중심으로 성장세... 1분기 영업이익 178.2% ↑
▷HD현대일렉트릭, 올해 1분기 매출액 8,010억, 영업이익 1,288억
▷북미·중동 시장에서 변압기 매출액 증대
![[증시 다트] HD현대일렉트릭, '변압기' 중심으로 성장세... 1분기 영업이익 178.2% ↑](/upload/ce38476d504246308ca35ecada270082.pn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국내 종합 에너지 솔루션 기업 중 한 곳인 HD현대일렉트릭의 올해 1분기 수익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매출액 8,010억 원, 영업이익 1,288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40.9%, 178.2%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24.3% 성장한 934억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중동시장과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변압기가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 때문입니다. 중동시장을 상대로한 HD현대일렉트릭의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04.2%나 증가했는데, 그 중심에는 전력변압기가 있습니다. 사우디가 추진하고 있는 네옴시티 프로젝트, 지정학적 불안으로 고유가가 지속된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전력변압기는 앞으로도 시장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HD현대일렉트스의 양호한 1분기 성적은 증권가의 예상과 부합했습니다. 지난 3월 28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성종화 애널리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HD현대일렉트릭의 올해 1분기 실적에 대해 “당사 종전 전망치를 대폭 초과할 것”이라며, “2022년초부터 시작된 수주 고성장에 따른 2023년 이후의 매출 고성장 및 수익성 개선,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가격 상승세에 따른 2023년 하반기부터의 수익성 추가 개선 등의 기세가 올해 1분기에도 예상에 비해 더 강하게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산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의 예상대로, 북미시장에서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변압기는 매출은 크게 늘어났습니다. 당시 성종화 애널리스트가 예측한 목표주가는 238,000원, 23일 오후 3시 기준 HD현대일렉트릭의 주가는 전일의 하락세를 만회하는 건 물론 그보다 상승한 239,000원 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한편, HD 현대일렉트릭의 주요 매출 증감사유는 크게 네 가지입니다. 전력기기, 배전기기, 회전기기, 종속법인인데요.
전력기기의 경우, 1분기라는 계절적 사유로 전분기에 비해선 매출이 줄어들었으나, 전년동기대비 70.4%의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전력변압기 등이 북미·중동시장에서 많이 팔린 데다가, 국내·유럽 시장에서도 매출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배전기기는 전년동월대비 52.8% 늘어났는데, 수익성이 높은 배전용 패드 변압기가 성장에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중저압차단기 역시 전분기에 이어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회전기기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32.2% 매출이 늘어났습니다.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수소 생산 설비 및 CCUS(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 등 친환경 프로젝트 회전기가, 아시아·유럽시장에선 선박용 제품의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종속법인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3.3% 매출이 줄어들었습니다.
HD현대일렉트릭의 향후 전망도 밝은 듯합니다. 올해 1분기 매출 상승세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변압기의 호황기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등 전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늘고 있는 데다가, 대규모 전력을 조달하는 초고압 변압기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1978년부터 변압기 사업을 시작한 HD현대일렉트릭은 국내 변압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에널리스트 曰 “송전단 초고압 변압기 시장은 향후에도 3~4년은 초호황이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1~2년 뒤부터는
배전단 중저압 배전 변압기 및 배전반 시장 초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