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만 8,500만 원 절감... 정부, '세컨드 홈' 활성화 정책 발표
▷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의 주택 하나 더 마련하면 세금 특례 적용
▷ 재산세, 종부세, 양도소득세 부담 완화, 공시가격 4억 원 이하 주택 해당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정부가 지방소멸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동산 세제 특례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이른바 '세컨드 홈 활성화' 정책으로,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기존의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에 주택 1채를 추가로 취득할 경우 종합부동산세, 양도세, 재산세 등의 세금을 깎아주겠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취득가액 9억 원, 양도가액 13억 원인 주택을 한 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인구감소지역의 공시가격 4억 원인 주택을 신규로 구매하면, 재산세는 94만 원, 종부세가 71만 원, 양도소득세는 약 8,500만 원이 줄어듭니다.
정부가 ‘세컨드 홈’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로 재산세 부과에 특례세율 적용, 종부세의 기본공제한도 상향,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한도를 늘렸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이처럼 파격적인 부동산 세제 특례 정책을 내놓은 이유는 우리나라의 인구 소멸 문제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계청의 2024년 2월
국내이동통계에 따르면, 경기(4,972명), 서울(3,134명) 등의
수도권 인구는 증가한 반면, 경남(-3,326명), 경북(-1,631명), 전남(-1,260명) 등 지방 대부분의 인구는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전국 89곳의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한 상태이며, 인구감소지역에서는 고령인구
비중은 높아져 지역 활력이 저하되고, 수도권과의 경제편차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타파하기 위해 내놓은 정책이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로, 앞서 언급했던 부동산 세제 특례 정책은 ‘세컨드 홈 활성화’에 속합니다.
물론, 인구감소지역에 속한 주택을 구입한다고 해서 모두 세금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우선 인구감소지역 중, 수도권의 접경지역 및 광역시 군 지역이 아닌 부동산 투기 등 우려 있는 수도권·광역시는 제외됩니다.
주택요건은 대상지역 내 공시가격 4억 원 이하, 2024년 1월 4일 이후 취득해야 합니다. 소유주 요건으로서, 특례지역이 아닌 곳에 주택을 갖고 있는 1주택자여야 하는데요.
만약, 인구감소지역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동일한 지역에 주택을 구입하면 이는 1주택 2주택자로서 특례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특례지역에 주택 한 채를 갖고 있던 사람이 수도권 등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 曰 “인구감소지역 內 주택 추가구입에 따른 부담이 큰 폭 감소하며 해당
지역 주택거래 활성화 및 생활인구 확대 등이 예상된다”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의 또 다른 정책은 ‘소규모 관광단지조성’입니다. 정부는 기존 관광단지제도의 한계성에 주목했습니다.
관광객 등 방문인구가 늘어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는 건 맞으나, 지금의 관광단지제도는 인구감소지역에 맞는 관광인프라 개발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내 지정요건과 절차를 대폭 관소화한 ‘소규모 관광단지’를 도입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기존엔 3종류 이상 구비해야 했던 관광단지 필수 시설 요건도 2종류로 완화하고, 취득세 50% 감면 등 기존 관광단지에 적용되던 혜택에 더하여 추가로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관광기금 융자를 우대해주고, 조례를 통해 재산세 등을 최대 100%까지 감면해주는 등의 내용인데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별 소규모 관광단지는 총 10곳으로 △의림지 관광휴양형 리조트 △고창 종합 테마파크 △고흥 태양의 섬 △남해 라이팅 아일랜드 등 총 1.4조 원의 규모입니다.
정부는 ‘소규모 관광단지조성’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특색에 맞는 관광단지를 조성하고, 추가 혜택 등을 통한 민간투자 촉진 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마지막 프로젝트는 ‘지역특화형비자 발급 지원’입니다.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에서 노동력이 많이 부족한 만큼, 외국인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유입시키겠다고 전했습니다. 지역특화형비자 참여지역 및 쿼터 확대를 통해 지역 산업인력 및 정주인구를 늘리겠다는 건데요. 참여지역을 지난해 28개에서 올해 66개 기초지자체로 확대하고, 쿼터 역시 1,500명에서 3,291명(2.2배) 증가시킵니다.
정부 曰 “국내 체류 외국인의 인구감소지역 정착 촉진을 통해 지방소멸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