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홍콩ELS 피해자 인터뷰①] 홍콩 ELS 피해자 조 씨 "더이상 나같은 피해자 나와선 안돼"

▷10년 동안 원금 손실 난적 없다는 은행원 말에 가입
▷"주식의 주자도 몰라...투자경험에 3년이상 체크돼"
▷금융당국 책임 커...은행의 고위험 상품 판매 금지 등 근본적 대처 필요

입력 : 2024.04.05 17:55 수정 : 2024.04.15 15:20
[홍콩ELS 피해자 인터뷰①] 홍콩 ELS 피해자 조 씨 "더이상 나같은 피해자 나와선 안돼" ELS 피해자 조 씨가 지난달 29일 기자를 만나 가입 상품에 대한 서류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이번 사건을 겪으면서 저를 포함한 홍콩 ELS피해자들은 일개미이고 은행을 포함한 금융권은 여왕개미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 서민이 뼈빠지게 고생해서 번 돈을 맡겼는데 은행은 사기를 치고 가만히 앉아 이자장사하면서 성과급잔치를 벌이고 있잖아요"

 

지난달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신관 근처 한 커피숍에서 만난 홍콩지수 ELS 피해자 조 씨는 부산 해운대에서 아이 3명을 키우고 있는 직장맘입니다. 그는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원금 손실 위험이 현실화되고 난 뒤 믿었던 은행에 배신당했다는 생각에 한동안 눈물로 밤을 지새웠습니다. 

 

조 씨는 "은행에 배신당했다고 생각하니 치가 떨려 한동안 계속 울기만 했다. 미안한 마음에 가족들에게 알리지도 못하고 끙끙 앓기만 했는데, 나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면 안된다는 생각에 요즘에 이번 사태에 대해 주변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1년 조 씨는 홍콩 ELS 상품에 가입했습니다. 당시 전세 자금이 들어와 은행에 예금을 하러 갔는데, 은행원이 10년 동안 원금 손실이 난 적 없고 이자가 4.9%(수수료 제외 3.9%)되니 안심해도 된다며 해당상품을 권유했습니다. 적지 않은 돈이라 걱정 됐지만, 은행원 자신도 해당 상품에 가입했고 무엇보다 증권회사도 아닌 은행에 맡긴 돈이 손실이 나겠나 싶어 상품 가입서에 사인을 했습니다

 


조 씨가 기자에게 보여준 ELS 통장. 4.9%라고 써진 숫자에 동그라미 표시가 되어 있다. 사진=위즈경제
 

하지만 은행원의 말과 달리 올해 1월 들어 해당 상품에 대한 원금손실이 현실화됐고 은행원의 양심에 호소하고자 직접 찾아갔지만 돌아온 것은 자신은 위험손실을 분명 고지했다며 잘못 없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조 씨는 "이자가 4.9%인데 손실이 35%~100% 난다는 이야기를 듣고 상품에 가입하는 사람 누구있게냐고 반문했지만 은행원은 아무 대꾸도 안한채 자리를 피해버렸다"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그러면서 "당시 ELS 통장을 보면 은행원이 상품 설명을 하며 적은 숫자가 있는데 4.9%만 적혀있다. 당시 은행원이 위험손실에 대한 이야기를 전혀 한적이 없다는 결정적 증거"라고 했습니다.

 

◇"본적 없는 설문 문항...모두 공격적 성향으로 체크"

 


조 씨가 기자에게 보여준 ELS 관련 서류. 투자성향진단 설문 항목 2번에 크기가 다른 체크가 있고 6번 문항에는 '3년 이상'에 체크가 되어 있다. 사진=위즈경제

 

조 씨는 총 6개 질문으로 이뤄진 투자성향진단 설문 항목에 대해 "한번도 본적 없는 설문항목에 97점 공격형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심지어 한 문항은 크기가 다른 체크 표시가 두번 되어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 씨가 기자에게 보여준 ELS 관련 서류. 투자 정보제공을 묻는 질문에 통보 거절로 체크되어 있다. 사진=위즈경제
 

조 씨는 투자 정보제공을 묻는 질문에 통보거절로 체크되어 있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본인이 신규고객이고 큰 돈을 맡겼는데 미동의에 체크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겁니다.

 

조씨는 "주식의 주자도 모르는데 3년 이상 투자했다고 체크가 되어 있었다. 한 문항에 두개가 체크 되어 문항도 있었는데 만약 내가 직접 한 것이라면 분명 은행원이 수정을 요구했을 것"이라면서 "투자 정보 제공을 묻는 질문에도 거절에 체크가 되어 있던데 상식적으로 신규고객이고 큰 돈을 맡겼는데 거기에다 체크한 사람이 어딨겠냐"며 억울함을 내비췄습니다.

 

조 씨는 지난 3월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율배상안에 대해 "적합성의 원칙, 설명의무, 부당권유금지를 증명해도 최대 40%밖에 안된다"면서 "은행 편에서 만든, 피해자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배상기준안"이라고 토로했습니다.

 

그러면서 "원금 손실이 없다고 해서 상품을 가입한 죄밖에 없는 선의의 피해자다. 잘못한 것이 없기 때문에 100%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은행서 고위험 상품 팔게 해선 안돼"

 

조 씨는 앞으로 이와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조 씨는 "앞으로 은행에서 고위험 상품을 팔면 안된다. 손실이 없고 이자가 높다는데 가입하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겠나. 더 이상 피해자가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아에 판매 자체를 막아야 한다"면서 "금융에 무지한 사람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은행이 고객의 돈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원금은 보장이 된다는 생각이 뇌에 각인 되어 있어 은행과 은행원 말을 아무 의심없이 믿고 신뢰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조 씨는 고위험 상품을 프라이빗뱅커(PB)에서만 한정해 판매하자는 은행권의 주장에 대해 "PB 창구를 열어주면 은행은 예금을 하러온 사람을 꼬셔서 고위험 상품에 가입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췄습니다.

 

조 씨는 가끔 관련기사에 본인이 투자해놓고 손실을 보상하라는 요구하는지 모르겠다는 댓글을 볼 때면 가슴이 아프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조 씨는 "홍콩 ELS 상품 재가입자 40%가 70대 이상인데 본인의 부모님이 그런 피해를 봤다고 해도 그렇게 말할 수 있을지 묻고 싶다"고 전했습니다.

 

조 씨는 끝으로 할 말이 없냐는 기자의 질문에 "내가 당해보니 이번 일을 분명히 매듭 짓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아이와 부모님 그리고 무관한 제 3자가 은행의 기망에 똑같은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앞으로 관련 집회에 꾸준히 참석하고 주변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겠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57

댓글 더보기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