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대만 강타한 규모 7.2 지진…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계기 될까?
▶대만 지난 3일 규모 7.2 강진 발생...TSMC, "공장 설비 복구율 80%"
▶대만, 첨단 반도체 생산 공장 집중돼있는 상황에 대한 우려 여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대만에서 지난 3일 오전 규모 7.2에 달하는 강진으로 인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 등 주요 반도체 기업 생산시설 가동이 일부 중단된 가운데 TSMC는 공장설비 복구율이 80%를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TSMC는
3일 지진으로 인해 “일부 공장의 설비가 손상돼 생산 라인이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지만, 다음날인 4일 밤 성명을 통해 “공장 설비의 복구율은 80%를 넘었고, 최첨단 3나노미터(나노는 10억분의1) 반도체를
양산하고 있는 남부 타이난 공장은 밤 중 완전 복구할 전망이다”라고 밝혔습니다.
TSMC를 포함한 반도체 공장 등이 모여 있는 사이언스파크를 관리하는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역시 4일 지진 복구 상황을 발표했습니다.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따르면 3곳의 사이언스파크 중 타이난의 주요
공장 모두가 정상화되고 있으며, 북부 신주와 중부 타이중도 대부분의 공장이 순조롭게 복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해외 언론에서는 TSMC 등 첨단 반도체 생산 공장이
대만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CNN 비즈니스는 ‘대만
지진이 상기시킨 지역 반도체 산업의 위험성(The Taiwan earthquake is a stark
reminder of the risks to the region’s chipmaking industry)’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며,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지정학적 위치에 있는 지역에 마이크로칩 제조를 집중시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상기시켜준다”며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현재 대만 TSMC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의 90%가 대만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TSMC가 제공하는 반도체는 애플, 퀄컴, 엔비디아 등 글로벌 대기업의 제품에 탑재되고 있어 경제안보
관점에서 지정학적으로 지진의 위험이 높은 대만에 반도체 생산이 집중돼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