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공정위, "앤시스의 휴머네틱스 주식 취득 문제 없다"

▷ 앤시스, 휴머네틱스 주식 취득 1.9조 원 심사... "지배관계 형성된다고 보기 어려워"
▷ 세계적 반도체 대기업 시놉시스는 앤시스 인수 발표... 규모만 45.4조

입력 : 2024.03.19 14:10
공정위, "앤시스의 휴머네틱스 주식 취득 문제 없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앤시스(Ansys, Inc.)휴머네틱스’(Humanetics) 주식 취득( 1.9조 원)을 승인했습니다.

 

앤시스가 휴머네틱스 경영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며, 기업결합에 대한 지배관계가 형성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는데요.

 

앤시스는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으로, 차량의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 가장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현대차를 비롯한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사용하는 LS-DYNA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LS-DYNA 사용례 (출처 = 공정위)

 

 

LS-DYNA는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차량과 탑승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가상으로 시험하는 소프트웨어로, 이쪽 분야에선 거의 교과서 수준의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앤시스가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전문으로 한다면, 휴머네틱스는 그러한 차량에 탑승하는 인형을 전문으로 합니다.

 

 

디지털 ATD (출처 = 공정위)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휴머네틱스는 충돌 테스트 인형(Crash Test Dummies)로 알려진 의인화 테스트 장치(Anthropomorphic Test Devices, 이하 ‘ATD’)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시장 점유율만 70%에 달하는 명실상부한 1위 기업인데요. LY-DYNA가 충돌 시의 시뮬레이션에서 차량이 어떻게 파괴되는가를 보여준다면, 휴머네틱스의 ATD는 그 차량 안에서 인체가 어떤 충격을 받는지 보여주는 겁니다.

 

앤시스는 이러한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세이프 패런트(Safe Parent, Inc.)가 갖고 있는 휴머네틱스의 주식 34.86%를 취득하겠다는 내용의 기업결합 신고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했습니다. 이에 대해 공정위는 앤시스의 충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휴머네틱스의 디지털 ATD’가 수직결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앤시스가 휴머네틱스 주식을 취득함으로써, 휴머네틱스에 대한 지배력을 갖는지 우선적으로 심사했는데요.

 

★수직결합: 동일산업에서 각각 다른 공정단계에 속하는 기업이 결합하는 행위, 정유회사가 유류판매업체를 사들이는 등의 예가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수직적 기업결합이 산업 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경우에는 이를 금지한다

 

검토 결과, 앤시스는 휴머네틱스의 주식을 34.86% 취득해도 2대 주주에 불과하고, 과반의 지분을 보유한 브리지포인트 그룹이 최대 주주로서 이사회의 구성 및 경영 전반에 관한 권리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앤시스가 휴머네틱스의 주식을 사들여도, 휴머네틱스에 대한 지배권은 여전히 브리지포인트 그룹에 있다는 건데요.

 

다만, 주주간 계약에 따라 앤시스가 2025년이 끝날 때까지 잔여주식 전량에 대한 매수청구권을 보유하므로, 이를 행사하여 지배관계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공정위가 경쟁제한 여부를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앤시스가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기업결합 신고와 별개로 최다출자자로서 별도의 신고 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공정위 曰 앤시스와 휴머네틱스가 충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시장 및 디지털 ATD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인만큼 향후 양사의 지배관계 변동이 있게 되면 경쟁제한성 여부를 면밀히 심사할 계획이다

 

한편, 앤시스의 움직임에 더욱 주목이 가는 이유는 시놉시스’(Synopsys)가 앤시스를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인수 규모만 45.4조 원(350억 원 달러)이며, 기업결합 신고는 아직까지 공정위에 접수되진 않았는데요.

 

시놉시스는 TSMC, 엔비디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적 반도체 기업입니다. 1986년에 설립되어 업력만 35년이 넘으며, 연 매출액 규모는 6조 원이 훌쩍 넘습니다.

 

최근에는 엔비디아, TSMC와 협력해 AI 반도체 칩 설계에 속도를 붙일 것이라 발표한 바 있는데요.

 

이미 반도체 산업계에서 명성이 높은 시놉시스가 앤시스를 인수하고, 나아가 휴머네틱스까지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그 입지는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

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

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

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

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

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

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