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뽑은 지난해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는?
▷응답자 25%,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 꼽아
▷"체감 효과 미미...전달체계 구축 시급한 상황"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청년들은 지난해 가장 중요했던 청년이슈로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꼽았습니다. 이와함께 올해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청년 이슈는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라고 했습니다.
재단법인 청년재단(이하 재단)은 19일 청년정책 및 청년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청년정책·이슈 톺아보기’ 설문조사를 발표했습니다. 설문조사는 리서치 전문업체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6일부터 14일간 전국 19~3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응답자들은 2023년 가장 중요했던 청년이슈로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25.1%)를 꼽았습니다. 이어 ‘청년 주거 불안’(24.9%), ‘청년 부채 증가’(23.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은 청년의 연령 및 청년유형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30세 미만과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30~34세와 직장인은 ‘청년 주거 불안’을, 35~39세와 신혼부부는 ‘청년 부채 증가’를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로 선정했습니다.
가장 중요했던 그룹별 청년이슈를 물어본 결과, 대학생의 경우 ‘진로 불확실성 및 불안감으로 인한 졸업유예’(53.7%)가 압도적이었다. 사회진입준비생은 ‘니트족 증가’(36.6%)가 가장 높았고, 직장인은 ‘저임금 및 고용불안’(36.6%)을, 신혼부부는 ‘전세사기 피해 및 우려 증가’(30.4%)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올해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슈로는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41.2%)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 밖에 '청년 주거 불안'(23.1%), '사회진출 지연 청년의 재도전'(21.9%), '세대 간 인식 격차 해소'(7.8%)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 유형은 자립준비청년(33.2%)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가족돌봄청년(23.5%) △금융취약청년(11.5%) △고립청년(11.0%) △구직단념(NEET·니트)청년(8.5%) △장애청년(7.0%) △경계선지능청년(4.0%) △이주배경청년(0.6%)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청년정책의 방향성(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청년의 자립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49.6%)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청년재단은 "다수의 청년정책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전국 단위의 청년정책 체감효과는 여전히 미미하므로 청년정책의 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청년의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청년정책을 설정하고, 취약계층 청년을 비롯한 모든 청년이 사각지대 없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