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美, 중국산 대신 멕시코산 물품 수입한다... 지난해 수입 규모만 4,756억 달러
▷ 멕시코, 미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 잡아... 2022년보다 5% ↑
▷ 미국산 원료로 노동력을 투입하는 '마킬라도라' 산업이 역할
▷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견제가 효과를 발휘했다는 주장
![[외신] 美, 중국산 대신 멕시코산 물품 수입한다... 지난해 수입 규모만 4,756억 달러](/upload/5336fca075ca4fabb50bbf98f1bd0bb2.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3년 미국의 최대 수입국이 바뀌었습니다.
CNN은, “지난 7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멕시코는 현재 미국의 최대 상품 수출국”(“Mexico is now the top exporter of goods into the US, according to new trade data released by the Commerce Department on Wednesday”)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끈끈했던 경제적 관계가 점차 멀어지는 것 같은데요.
2023년 미국의 무역 성적은 양호한 편입니다. 전체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적자는 지난해 7,734억 달러로 2022년보다 19%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CNN은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That’s the largest annual decline in the trade deficit since 2009”)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이러한 가운데 미국은 지난해에 멕시코로부터 4,756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사들였습니다. 2022년보다 5% 증가한 규모입니다. 반면, 중국으로부터는 4,272억 달러의 상품을 수입하면서 2022년보다 규모를 20%나 줄였습니다. 특히, 미국 제조품 수입 내 중국 비중은 2017년 24%에서 2023년 15%까지 감소했습니다.
전자제품은 그 점유율이 50%에서 30%까지 떨어지기도 했는데요. 그 빈자리를 베트남과 멕시코가 차지했습니다. 중국 경제와 미국 경제 사이의 탈동조화(Decoupling) 즉, 미국이 자국 또는 인접국·동맹국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구축하려는 리쇼어링(reshoring), 니어쇼어링(near-shoring), 얼라이쇼어링(ally-shoring)에 대한 의지가 나타났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한국무역협회는 ‘주요 기관이 바라본 지정학과 무역의 상관관계’ 보고서에서 “지정학에 따른 무역 대상 전환은 공급망 붕괴 가능성으로 인해 난도 있는 과제지만, 미국은 일부 무역을 멕시코와 캐나다로 전환하며 예외를 기록했다”며, 나름의 성과를 도출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최경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가 ‘북미지역 경제통합: 멕시코의 안보와 경제’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멕시코가 자국 물품을 미국에 적극적으로 수출할 수 있었던 데에는 ‘마킬라도라(Maquiladora) 산업’이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원료와 부품, 장비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해, 멕시코의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해 조립한 다음, 완성된 중간재 및
최종생산물을 미국에 판매한 겁니다. 미국과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NAFTA)를
체결하고 있으니, 미국산 재료로 멕시코에서 물건을 만들어 다시금 수입해도 관세부담도 비교적 크지 않았는데요.
이와 함께, 중국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경제적 견제도 하나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CNN에 따르면, 대외관계협의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의 전문가 브래드 세터(Brad Setser)는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가 중국산 제품 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Trump administration put in place have negatively impacted the amount of goods the US imports from China”)고 주장했습니다.

미국 내에서 중국산 물품에 대한 수요 자체가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CNN은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병목 현상이 해결되면서 전자제품 같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소비를 줄이고 있다”(“Americans have
been dialing back on purchases of goods such as electronics that are widely
produced in China since supply chain bottlenecks cleared up after the pandemic
took hold”)며, “결과적으로, 더 많은
지출이 여행 및 유흥과도 같은 서비스로 옮겨 갔다”(“In turn, more spending has
shifted to services like travel and entertainment”)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