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2월 채권시장 전망 '긍정'...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커"

▷ 금융투자협회, '2023년 12월 채권시장 지표'
▷ 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 커... 채권시장 가격 상승 전망

입력 : 2023.11.28 14:57 수정 : 2023.11.28 15:44
12월 채권시장 전망 '긍정'...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312월 채권시장지표에 따르면, 채권시장에 대한 관계자들의 전망이 밝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채권시장 BMSI를 조사한 결과, 기준금리, 금리전망, 물가, 환율 등 모든 부문에서 지표가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설문에 응답한 채권시장 관계자의 96%11월에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 응답한 사람은 3%인데, 이 중 2%50bp 인하, 1%는 25bp 인하로 전망했습니다. 금리가 인상될 것을 예측한 1%50bp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MSI(Bound Market Survey Index): 금융투자협회가 채권보유 및 운용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채권시장의 지표. 지수가 100 이상일 경우 채권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으로 볼 수 있으며, 그 반대는 채권시장 심리가 위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7일부터 22일간 진행된 조사에서, 종합 BMSI106.5로 전월대비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가 안정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정책이 종료될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된 탓입니다. 그 결과, 미국의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채권시장에는 기대감이 감돌기 시작한 겁니다.

 

금융투자협회 曰 美 인플레이션 둔화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美 물가상승률 역전 및 국내 가계부채 급등 등으로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채권은 금리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고, 금리는 실물경제와 필연적으로 엮여 있습니다. 채권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올라가고,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건데요.

 

안홍식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시장에 통화가 풀리면 사람들은 초과한 화폐공급량을 채권으로 대체하고자 합니다. 채권수요와 함께 채권의 가격이 증가하는 셈입니다.

 

반대로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채권시장 관계자들의 긍정적인 전망은 미국의 국채금리 인하 가능성으로부터 기인하는 겁니다.

 

결과적으로 채권과 금리는 환율/물가/원자재/경제상황에 따라 변동합니다. 먼저, 환율이 하락하면 경상수지가 악화됩니다. 원화 대비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수출액이 줄어들고, 수입액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경상수지가 악화됨으로써 경제 성장률이 저하되고, 위축된 투자심리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를 높입니다. 채권의 수요와 가격이 올라가는 셈입니다. 물가와 원자재의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중요합니다.

 

수출 증가, 정부지출 확대,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인해 물가가 오른다면 소비자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은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 입장에선 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게 됩니다.

 

물론, 채권과 금리가 정해진 경로대로 변동하는 건 아닙니다. 전쟁 및 자연재해와 같은 지정학적 불안 등 채권과 금리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적 경제환경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