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소득 지출 모두 ↑.... 가계신용도 늘어
▷ 2023년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503만 3천 원, 전년동분기대비 3.4% 증가
▷ 지출도 증가세, 특히 단체여행비 150.5% 늘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계소득과 지출은 전년동분기대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03만 3천 원으로 3.4%, 가계지출은 387만 1천 원으로 4.0% 늘어난 건데요. 소득과 지출이 상승세를 타는 과정에서 가계부채 역시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계신용 잔액은 1,875.6조 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4.3조 원 불어났습니다.
★ 가계신용: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거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한 대금
등을 합한 금액,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계대출은
일반가계가 금융기관 등에서 대출한 것을, 판매신용은 신용카드회사 등이 소비자에게 신용을 제공한 것을
의미한다
우선,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자세히 살펴보면, 경상소득(항상 발생해서 예측이 가능한 소득)은 3.8% 증가했습니다. 근로소득이 3.5%, 이전소득이 11.7%, 재산소득이 16.5% 늘어났으며, 사업소득은 0.8% 줄어들었습니다. 비경상소득(일시적으로 발생해 예측이 불가능한 소득)은 23% 감소했는데요.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0만 8천 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9% 증가했습니다. 오락/문화, 식료품/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 교육, 교통 등에서 지출이 늘고,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의류/신발 등에서는 감소했습니다. 이 중 눈에 띄는 건 ‘오락/문화’ 지출입니다.
오락/문화에 대한 3분기 지출은 21만 1천 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6.7% 늘었는데, 이는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국내외여행 등 단체여행비의 규모가 150.5% 커졌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지난 2분기 단체여행비의 증감률은 235%에 달합니다.
가구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음식 및 숙박(15.8%)이며, 그 다음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15.4%), 교통(11.6%), 주거/수도/광열(10.3%), 교육(9.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음식 및 식품, 식료품/비주류음료 등의 지출의 규모와 비중이 큰 데에는 물가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7월에 2.3%를 기록하는 등 안정세를 보였으나 3분기 진입하면서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은 올해 3분기 106만 2천 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3% 늘었습니다. 이자비용의 증가폭이 24.2%로 유독 눈에 띄는데요. 이는 가계부채와 관련이 깊습니다. 빚을 낸 만큼, 갚아야 할 이자비용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계대출은 11.7조 원 증가했습니다. 지난 2분기(+8.7조 원)의 증가폭을 상회하는 규모입니다.
예금은행과 기타금융기관 등에서 각각 10.0조 원, 6.5조 원 늘어났습니다. 그 중심에는 역시나 주택담보대출이 있습니다.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1분기까지 하락세를 보이다가, 2분기와 3분기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금융당국은 DSR 규제를 내실화하고, 은행들 스스로 장기/고정금리 모기지 대출을 적극 취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유인구조를 마련한다는 입장입니다만,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열기를 안정시키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