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참여자 절반 이상, "유기동물 지원에 정부가 힘써야"](/upload/27f8254103584449915914463db1afba.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경제가 ‘반려동물과 유기동물, 무엇이 우선인가’란 주제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이미 발생한 유기동물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지난 10월 26일부터 11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34개의 의견이 달렸습니다.
# “유기동물 지원 정책 적극적으로 펴야”
참여자 중 52.94%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유기동물 지원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사람을 처벌하고, 번식장이나 펫샵을 모두 금지시켜야 한다는 등 동물복지법을 강력히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요.
참여자 A는 “펫샵을 없애고, 유기동물 입양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펴야 한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참여자 B의 경우 “반려동물가구에 지원을 한다고 해도, 유기동물은 발생한다고 본다”며, “여유롭지 않아도 (반려동물을) 잘 관리하는 가정이 있는 반면, 여유로워도 (반려동물을) 학대하거나 유기하는 가정이 있다. 학대 및 유기동물주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어야 진정한 반려동물 가정이 꾸려진다”고 강조했습니다.
참여자 C는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과정을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유기견
입양 과정이 까다롭다”며, “분양기관에서 요구하는 돈이 넌덜머리가
날 정도, 차라리 (반려동물을) 사는 게 속편하니 이런 부분에 있어서 문제점을 고쳐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 “반려동물 키우기 까다롭게 만들어야”
위고라 참여자 중 29.41%는 반려동물 가구에 더 초점을 맞췄습니다.
참여자 D는 정부의 반려동물보험 정책과 관련, “동물병원 병원비가 하늘높이 치솟는 상황에서 (정책이) 옳다고 본다”며, “병원비 무서워서 강아지 못 키운다. 금전적 부담이 너무 크다”고 밝혔습니다.
참여자 E 역시 “동물 의료 체계의 개선이 무조건 필요한 시점”이라며, “동물의료보험 제정은 물론 중성화 수술을 시킬 수 있도록 병원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처음부터 반려동물을 키우기 어렵게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참여자 F는 “반려동물 키우려면 동물병원 및 관계기관에 무조건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지키지 않았을 때 처벌하면 유기견 바로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형식적으로 칩만 심는 게 아니라, 소유자의 이력, 심장사상충 같은 접종이력 등을 정부가 면밀히 관리해야 한다는 건데요. 참여자 G 역시 공감하여, “반려동물은 경제적, 시간적, 체력적 여유가 많은 사람들만 키우면 좋겠다”며, “선진국 모델 갖고 와서 입양법 등의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반려동물과 유기동물 정책 모두가 중요하다는 중립 의견도 있었습니다. 참여자 H는 “어느 걸
우선시해도 (반려동물을) 버릴 사람은 버린다”며, “처음부터 단속을 제대로 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 결국 중요한 건 정부의 자세
위고라 참여자 대부분은 유기동물을 막기 위해선 정부의 ‘움직임’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동물을 유기하는 사람에겐 응당한 처벌을 내리고, 반려동물을 되도록이면 입양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등의 이야기인데요.
이와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2월 6일 ‘동물복지 강화 방안’을 발표하긴 했습니다.
오는 2024년에 동물복지법을 마련한다는 목표 하에 ‘사람/동물 모두 행복한 하나의 복지(One-Welfare) 실현’을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과 77개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불법적이고 무분별한 반려동물 영업행위에 대한 관리 강화 △맹견/사고견 관리를 위한 기질평가 시범사업 추진 △민간동물보호시설 신고제 도입 및 동물보호센터 확충 △동물복지정책을 전담하는 국(局) 단위 조직 신설 등의 내용인데요.
정부는 유기동물 예방을 위해 양육자의 돌봄의무를 강화하고, 동물 입양 시 등록을 의무화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내놓았습니다만, 발표 1년이 지난 현 시점까지 구체적인 추진 계획이 나오지 않은 건 다소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시 농림축산식품부가 “이번 대책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정책 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세부방안 구체와, 후속 입법 조치 등을 이행하고, 동물 복지 강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도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약속한 만큼, 반려동물보험 정책과 마찬가지로 동물복지법의 확립을 위해서도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