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의 아시아나 화물 사업 인수, 득일까 실일까?
▷안정적인 캐우카우로 평가...LCC 4곳 인수 나서
▷운영 노하우 부족 등으로 제대로 운영될 가능성 낮아
▷장기적으로 대한항공과의 경쟁에서 밀릴수도
출처=아시아나항공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 합병을 위해 화물사업 부분을 매각키로 결정함에 따라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이 사업 부문 인수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LCC의 아시아나항공 사업부 인수가 득보다는 실이 많을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 화물사업 인수 가능성이 거론되는 LCC는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4개사입니다. 본격 매물로 올라오기까지 절차가 남았고, 구체적인 가격 산정이 어려워 이들 LCC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 않는 상황입니다.
#아시아나 화물사업에 군침 흘리는 이유
화물사업부는 아시아나의 알짜 사업부로 평가받습니다.IATA(국제항공운송협회) 등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글로벌 화물 공급량은 39억9400만CTK(킬로미터톤)으로, 전 세계 20위 수준입니다. CTK는 수송된 화물의 톤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값으로 화물의 수송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코로나19 펜데믹 당시에는 여객 사업이 멈춰선 아시아나항공을 먹여 살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시아항공에 따르면 화물사업부는 2021년 3조1493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체 매출의 72.5% 차지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올해 들어 화물 운임이 정상화돼 매출 비중이 축소 됐으나, 업계에선 LCC의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는 단번에 외형을 확장하고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미국·독일·러시아 등 12개국 25개 도시에 21개 노선을 운항 중입니다. 화물기는 B767F 1대, B747F 10대 등 총 11대를 운영중입니다.
#아시아나 화물사업 인수가 득보다 실인 이유
하지만 LCC가 아시아나항공 사업부를 인수할 경우 제대로 운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LCC가 여객 위주로 사업을 운영해온 만큼 화물사업 노하우가 부족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시각입니다.
대형 항공사 관계자는 "반도체나 배터리 등 상대적으로 취급이 어렵고 고부가가치 제품들의 경우 여기에 맞는 인증이 있다"며 "아무래도 이런 운송 노하우들이 있어야 경쟁력이 생기는데 LCC는 이런 부분이 부족한 만큼 화물사업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습니다.
LCC가 그동안 아시아나가 쌓아온 글로벌 네트워크를 그대로 가져갈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화물사업의 핵심의 화주와의 관계인데, 상대적으로 네임벨류가 떨어지는 LCC에게 물건을 맡기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또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화주들은 아시아나라는 네임벨류를 보고 지금까지 화물운송을 맡겨온게 사실"이라며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제시간에 맞춰 받아야하는 화주들이 경험이 부족한 LCC에게 일을 맡기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LCC가 인수한 화물사업부가 대한항공과의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대형 항공사 관계자는 "대한항공이 화물사업이 수익성이 꽤 크다는 걸 아는만큼, 아시아나 화물사업을 인수한 LCC를 가만두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향후 화물 운송비 단가를 내리는 등의 조치를 통해 화물사업 또한 독점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