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올해 친환경차 수출액 벌써 작년 기록 뛰어 넘어

▷ '친환경차 수출' 올해 1~9월 동안 189억 달러 기록
▷ 테슬라, 중국 등 경쟁자 많아... 특히, 중국이 적극적

입력 : 2023.10.18 15:17 수정 : 2023.10.18 15:18
올해 친환경차 수출액 벌써 작년 기록 뛰어 넘어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중심에는 친환경차(하이브리드, 전기, 수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친환경차 수출액은 18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친환경차 총 수출액(161억 달러)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세계적인 경제 침체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미와 유럽연합(EU)를 중심으로 친환경차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3분기까지 친환경차를 포함한 자동차 수출은 52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이며 15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그간의 외교적인 노력을 통해 자동차 산업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통해 자국 중심의 전기차 공급망 구축을 시도한 바 있습니다.

 

친환경차차의 세액을 공제받기 위해선, 해당 승용가 북미에서 최종 생산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애로사항이 있었습니다. 이에 정부가 미국 측과 협상에 돌입했고, 그 결과 렌트/리스 등 상업용 친환경차의 경우 북미조립/배터리 요건 등에 관계없이 최대 7,500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정부 설명에 따르면, 보조금을 바탕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는 미국 내 상업용 친환경차 판매를 확대했고, 올해 9월까지 8.9만 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한 규모로, 지난해 전체 판매량인 7.4만 대를 초과했습니다.

 

다만, 앞으로도 친환경차 수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장하기는 어렵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외에도 EU의 기후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와 핵심원자재법(Critical Raw Material Act) 등으로 인해 수출의 불확실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전기차 시장에 적극 참여하는 국가/기업들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연구원의 <자동차 수출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에 따르면, 주요국의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어 감에 따라, 기업들의 시장 진입 확대가 이루어지며 경쟁 심화가 나타나고 있는 부분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포드와 테슬라, 폭스바겐, BMW 등은 가격 인하 정책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시장에 풀린 전기자동차의 모델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이름난 자동차 기업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유지해야,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수출의 밝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인데요.

 

특히 주목해야 할 경쟁자는 중국입니다. 중국 매체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의 친환경차 수출은 8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출 물량 중 상하이산 테슬라가 32,862대로 가장 많았고, BYD18,169, SAIC17,724대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중국 역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친환경차 수출이 자국 자동차 산업을 이끄는 모양새입니다. 중국의 7월 승용차 전체 수출은 31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나 증가했습니다. 전 세계 친환경차의 60%가 중국에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고 글로벌 타임스는 설명했는데요.

 

중국 정부 당국과 기업들은 친환경차 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BYD는 우즈베키스탄과 친환경차 공장 건설에 관한 투자 계약을 맺는가 하면, 중국 정부는 친환경차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차를 더욱 많이 사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과 정부 부처,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친환경차를 더욱 많이 쓰도록 장려하겠다는 겁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