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환자 매년 느는데…인공눈물 가격 인상 예고
▷내년 인공눈물 가격 최대 10배 인상 전망
▷전자기기 노출 증가, 미세먼지 등의 요인으로 안구건조증 환자 증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내년부터 인공눈물 가격이 최대 10배가량 오를 전망입니다.
17일 의료업계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달 6일 제9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인공눈물의 원료인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제 일부 제품에만 급여 혜택을 적용하고
처방량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심의 결과 약평위는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제 쇼그렌증후군, 스티븐스-존슨증후군, 건성안증후군(안구건조증) 등 내인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라식∙라섹
수술 후, 약제성, 외상,
콘택트렌즈 착용 등에 의한 외인성 질환에 대해서는 임상적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봤습니다.
현재 안과에서 안구건조증 등을 이유로 점안제를 처방받으면 약 4000원에
한 박스(60개입)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는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적용된 금액으로, 실제 가격은 10%에 불과합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인공 눈물 가격이 최대 10배가량 비싸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심평원은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제의 급여 적정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과 관련해 건보 제정 부담보다는 임상적 유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심평원 관계자는 “심의 결과는 아직 최종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비용과 효과, 대체약과의 가격 비교, 풍선 효과 등 사회적 요구까지 고려해 최종적으로
급여 제외 여부를 정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심평원은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제를 공급하는 기업으로부터 이의신청을 받은 뒤 다시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오는
12월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입니다.
다만, 최근 전자기기에 대한 노출 빈도 증가, 미세먼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 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실제 인공눈물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축소가 단행될 경우, 소비자들의 부담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9년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은 267.9만 명으로, 2016년 249.9만명
대비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5월에 진행한 ‘건성안환자의
점안제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정책토론회’에 참여한 울산의대 안과학 김재용 교수는 “건성안환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만65세 이상 노년층의
건성안유병률은 전체 유병률 8% 중 약 30%에 달한다”며 “건성안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다양한
안구증상 및 손상을 유발하며 녹내장, 백내장 등 다른 안질환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한편 심평원은 내년부터 인공눈물 가격이 10배 이상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심평원은 “일회용 점안제 1개의 현재 보험등재 가격은 152원에서 396원, 한박스(60개 기준으로 약품비 총액은 9천120원에서
2만3천760원이며, 본인부담금은 의원급 30%, 상급종합병원 50%이다”라며 임상적 유용성 검토 결과에 따라 일부 적응증의 급여
기준이 바뀌어 전액 환자 부담을 가정해도, 약품 비용은 10배가
아닌 2~3배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인공눈물 건강보험 적용 제한하는 이유가 건보 제정 때문이라는 것도 사실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심평원은 “급여적정성 재평가는 등재시기가 오래돼 임상적
유용성 등에 대한 신약등재, 상병변화, 제외국 상황 등 환경변화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상을 선정하고, 현재 수준의 임상적 근거를 확인해 환자 치료에 필요한 부분은 충분히
급여하되 오남용은 개선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