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아파트 분양, 10년만에 최저 예상...향후 전망은?
▷연내 총분양 계획 물량 44% 수준 불과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과 미 기준금리 등이 변수"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민영아파트 분양 실적이 20만 가구를 밑돌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에서 단지별 선별 청약 분위기가 계속됨에 따라 계획 물량을 차질 없이 공급하기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1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분양된 전국 민영아파트는 총 11만3천103가구로 집계됐습니다.분기별로 보면 1분기 2만8천908가구, 2분기 3만4천725가구, 3분기 4만9천470가구 등입니다.
3분기에는 당초 분기 계획물량(3만8천697가구)보다 1만가구가량 더 분양돼 1·2분기 대비 공급량이 많았습니다. 통상 3분기는 장마, 휴가 등의 영향으로 분양 비수기에 해당하지만, 올해는 아파트값 회복세로 매수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상반기 이월된 단지들이 분양을 진행했고 수도권 정비 사업지와 지방 택지지구의 공급도 있었습니다.
다만 3분기까지의 누적 공급량은 지난해 말 조사된 연내 총분양 계획 물량(25만8천3가구)의 44%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올해 3분기까지 연간 계획물량의 47% 수준을 달성하는 데 그쳤고, 대구(4%), 울산(15%) 등은 누적된 미분양 리스크로 분양시장 냉기가 이어졌습니다.
반면 전남(136%)은 지난 8∼9월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공급 물량으로 연내 예정 물량을 초과 달성했고, 제주(122%) 역시 연간 계획물량 이상을 공급했습니다. 올해 4분기에는 8만여 가구의 민영아파트가 분양될 예정입니다.
이 경우 올해 연간 공급량은 20만가구에 채 미치지 못해 2013년(20만281가구) 이후 10년 만에 민영아파트 최저 공급 물량을 기록할 가능성이 큽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은 단지별 선별 청약 분위기가 지속해 계획 물량을 차질 없이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게 부동산R114측 입장입니다.
주택산업연구원 권지혜 연구원은 "고금리의 장기화, 경기둔화 전망과 가계대출 증가를 막기 위한 특례보금자리론 판매 중단 등이 향후 분양시장의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며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동결과 정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이 분양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