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충돌에 유가 4% 급등...장기화 가능성은?

▷국제유가 약 4% 급등...브렌트유·WTI 각각 11%,8% 하락
▷분쟁확산시 유가 상승 불가피...업계 전문가 "장기화 가능성 낮아"

입력 : 2023.10.10 15:44 수정 : 2023.10.10 15:46
이스라엘·하마스 충돌에 유가 4% 급등...장기화 가능성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팔레스타인 무장세력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으로 국제유가가 약 4% 급등했습니다.

 

10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브렌트유는 3.57달러(4.2%) 오른 배럴당 88.15달러에,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3.59달러(4.3%) 오른 배럴당 86.38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난주 국제 유가는 고금리 장기화 전망 속에 국제유가가 단기간 너무 가파르게 올랐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며 가격을 끌어내렸습니다. 브렌트유는 약 11% 하락했고 WTI는 8% 이상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이 기습공격을 해온 하마스를 상대로 전쟁을 공식 선포하면서 국제 유가가 다시 급등해 이틀째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로 이번 달 들어 내림세였던 국제 유가가 중동 전쟁 여파로 반등한 것입니다.

 

앞서 하마스는 7일(현지시간) 새벽 수천 발의 로켓을 이스라엘 남부지역을 향해 발사하고 무장대원들을 침투시키는 등 수년 만에 가장 큰 공격을 가했습니다. 하마스의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 역시 가자지구에 보복 공습을 가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사망자가 9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고, 팔레스타인에서도 690명가량이 숨지는 등 양측에서 1600백 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엔(UN)은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을 피해 가자지구 주민 12만3000여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분쟁이 확산으로 치달으면 유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지만, 장기화될 가능성이 낮다는 입장입니다.

 

양해정 DS 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이번 분쟁이 확산으로 치달으면 유가도 상승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다만 과거 오일 쇼크의 단초 역할을 했던 1970년대의 반이스라엘 정서처럼 중동 전역에 걸쳐 단결이 될지는 의문이라 분쟁이 확대될 가능성이 낮다"고 분석했습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이스라엘과 이란 모두 핵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전면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면서 "유가 상승은 글로벌 경제와 원유 수요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원유 생산국들이 전쟁 장기화를 선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이날 아침 금융시장·실물경제 점검회의를 열었습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에서 "아직까지 사태 초기로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은 제한적이지만, 향후 사태 전개 양상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24시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관계기관 공조하에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 재점검을 지시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