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포트]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 찬성 67.78%...반대 32.22%

입력 : 2023.09.26 16:40 수정 : 2023.09.26 16:41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위즈경제가 길고양이 보호를 위한 조례안 제정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67.78% 참여자가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 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해당 조례안을 반대하는 비율은 32.22%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96일부터 926일까지 진행됐으며, 90명의 참여자가 참여했습니다.

 

#사람과 길고양이는 공존해서 살아가야 한다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 제정에 찬성 입장을 밝힌 67.78%의 참여자들은 사람과 길고양이 간의 공존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참여자 A무차별적인 혐오범죄에 희생당하는 아이들이 너무 많다. TNR, 안정적인 밥자리, 입양확대 등 꾸준한 케어가 이뤄진다면 얼마든지 공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참여자 B길고양이는 우리 도시 생태계의 한 축을 차지하는 동물이다라며 조례가 제정되어 효율적으로 예산이 사용되고 길고양이에게 필요한 부분이 지원된다면 사람과 길고양이 모두에게 좋은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 제정을 통해 길고양이에 대한 학대혐오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참여자 C길고양이들이 주인 없고 길에 산다는 이유로 학대 당하는 경우가 있다라며 길고양이 혐오와 학대 양상을 막기 위해 길고양이 보호 조례가 통과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도 동물도 엄연한 생명인데 사람에 의해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사람처럼 존중받을 수 있도록 국가에서 보호해주길 바란다, 전국 최초로 지자체가 길고양이 보호에 나선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기회에 전국적으로 시행됐으면 좋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길고양이 보호는 세금 낭비다

반면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에 반대하는 비율은 32.22%로 나타났습니다. 반대 측에서는 길고양이 보호를 위해 예산을 사용하는 것은 세금 낭비라고 지적했습니다.

 

참여자 D고양이는 좋아하지만 시민의 혈세까지 쓸 수 없다라며 시민의 세금은 사람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참여자 E길고양이는 유해조수다라며 길고양이 보호 조례라니 세금 쓸데가 그렇게 없나라고 꼬집었습니다.

 

일부 참여자들은 길고양이가 멸종위기동물들을 위협한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참여자 F길고양이로 인해 조류와 파충류 등 수많은 소동물들이 목숨을 위협받는다. 이에 호주, 뉴질랜드, 유럽 등에서는 길고양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안락사 혹은 살처분을 한다라며 길고양이가 멸종위기종도 아니고 굳이 보호법을 지정해야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천안시의회에서 발의된 길고양이 보호 및 관리 조례안은 전국 최초로 지자체 차원에서 길고양이 보호를 위한 조례를 마련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점에서 동물권 증진에 있어 유미의한 진전라는 것은 틀림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앞서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조례안에 대해 반대하는 시민들 역시 적지 않은 만큼 찬반 양측의 의견 조율을 통해 미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