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편의점 3사, 혼추족 겨냥한 상품 잇따라 출시

▷CU, 한끼 잡채 등 완제품 4종 1+1 판매
▷GS25, 편스토랑 도시락 최대 30% 할인
▷세븐일레븐, 들기름비빔밥 등 3종 명절 간편식 판매

입력 : 2023.09.18 13:52
편의점 3사, 혼추족 겨냥한 상품 잇따라 출시 CU에서 모델이 추석 간편식 대표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출처=CU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편의점 업계가 민족대명적 추석을 맞아 고향길 귀성 대신 혼자 추석을 보내는 '혼추족'을 위핸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18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CU는 추석을 맞아 가성비를 높인 추석 간편식을 이달 19일부터 출시합니다. 혼추족으로 위한 한가위 도시락 2종, 대표적인 명절 음식으로 구성한 냉동 간편식 7종 등 총 9종입니다. 올해 처음 명절 음식 1+1 행사를 진행합니다.

 

돼지구이 정식 도시락은 국내 육종 돼지고기 버크셔K 품종의 돼지고기 구이와 전, 밑반찬을 담은 상품입니다. 나혼자 모둠전 도시락은 김치전, 감자전, 녹두전, 동그랑땡, 고추튀김, 오징어튀김, 해물모둠완자 등 9가지 전을 하나로 구성한 단품 요리입니다.

 

편의성을 높인 명절 음식도 내놓습니다. 한끼 잡채, 동태전, 깻잎전, 오미산적 완제품 4종과 동태살, 해물모둠, 랍스터 새우 식재료 3종입니다. 모두 냉동 간편식입니다. 완제품 4종은 이달 24일부터 30일까지 한정수량으로 1+1 행사를 진행합니다. 

 

 


GS25가 올해 추석 도시락을 선보인 '어남선생의 꽈리찜닭 도시락' 출처=GS25 

GS25는 ‘어남선생꽈리찜닭 도시락’을 출시했습니다. 지난 15일 ‘가을의 맛’ 콘셉트로 진행된 ‘신상출시 편스토랑’ 방송에서 배우 류수영이 경연 메뉴로 선보여 최종 우승한 상품입니다. 꽈리찜닭, 모둠전, 무생채, 시금치나물, 백미밥, 계란후라이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GS25는 어남선생꽈리찜닭 도시락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에게 컵라면(팔도도시락)을 증정하는 행사를 이달 말까지 진행합니다. 이달 20일부터 3일간 전용 애플리케이션 우리동네GS를 통해 예약 구매하는 고객에게 하루 1000개 총 3000개 선착순으로 30%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외에도 GS25는 약국, 은행 등이 연휴 기간 문을 닫으면서 이용률이 크게 상승하는 안전 상비 의약품 등의 재고를 충분히 구비하고 현금인출기 인프라를 사전 점검하는 등 응급 구호, 금융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한다는 방침입니다.

 

명절 간편식 3종. 출처=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 또한 혼추족들을 위해 명절 음식으로 선호도가 높은 ‘한끼연구소 들기름비빔밥’ ‘수리수리술술 모둠전’ ‘수리수리술술 오색잡채’ 등 3종의 명절 간편식을 선보입니다.

 

한끼연구소 들기름비빔밥(5900원)은 무나물, 취나물, 참나물, 고사리볶음 등 명절에 즐겨 먹는 대표 나물 8가지 재료가 담긴 명절도시락 콘셉트의 상품입니다. 한돈 불고기가 별도로 담겨 비빔밥과 함께 곁들일 수 있도록 했으며 고추장 대신 간장과 고소한 들기름이 담겼습니다.

 

세븐일레븐은 명절도시락 출시를 기념해 이달 말까지 한끼연구소 들기름비빔밥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모바일 앱 적립 시 세븐일레븐 모바일상품권(최대 1만원) 증정 행사를 진행합니다.

 

수리수리술술 모둠전(5000원)은 명절에 주로 즐겨먹는 전이 담겼습니다. 고추전, 오미산적, 동그랑땡, 김치전, 해물부추전, 녹두전, 두부전 등 7가지의 전이 담겼습니다. 수리수리술술 오색잡채(3000원)는 당면에 돼지고기, 버섯, 당근, 계란, 부추 등 오색 고명이 토핑됐습니다.

 

한편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연휴(9월 9~12일)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큰 서울 관악구 내 매장의 도시락 평균 매출은 전국 매장 대비 93.8% 높았습니다. 반찬, 찌개류 등 간편식도 70.4% 더 많이 팔렸고, 삼겹살 등 소용량 축산 상품(52.3%)과 냉동 떡만두(49.3%), 베이커리(47.9%)도 혼추족들이 많이 찾았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