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6만 5천 원이면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기후동행카드' 내년 도입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내년 상반기에 시범 도입, 하반기엔 실제 운영
▷ 월 6만 5천 원이면 신분당선 제외한 모든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가능, 서울시외에서 승차하는 경우는 제외
▷ 오세훈 서울시장, "기후대응을 위해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 요금 인상 부담 완화"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시가 월 6만 5천 원이면 대중교통은 물론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무제한에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오는 2024년 1월부터 5월까지 시범운영한 뒤,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운영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기후동행카드의 정가는 6만 5천 원으로, 스마트폰 어플과 실물카드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이 중 실물 카드의 경우 최초 3천 원의 비용이 소모됩니다.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면, 한달 간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 버스,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이 가능합니다. 따릉이는 하루
‘1시간 이용권’을 한도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서울시는 수상대중교통이라 할 수 있는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운영해 나가겠다고 전했습니다.
현재 추가요금을 제하고 서울시내의 버스 요금은 1,500원, 이를 한 달에 60회 탑승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교통요금은 총 9만 원입니다. 여기에서 기후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요금을 약 2만 5천 원 절약할 수 있으며, 따릉이 일일권(1,000원)을 합치면 절감폭이 더 증가합니다.
다만, 몇 가지 제한사항은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를 통해선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이용이 가능합니다만, 만약 서울 외의 지역에서 ‘승차’할 때는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즉, 서울시 밖에서 ‘승차’할
때는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 없다는 겁니다. 아울러, 수도권
전철 기본운임(현재 1,250원)에 거리초과운임과 각 구간 별도운임이 붙는 ‘신분당선’에서는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합니다. 운임요금이 서울시 지하철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버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경기/인천 등 타 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는 제도 도입의 취지로 ‘환경’을
이야기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승용차 이용이 증가하면서
대중교통 이용률은 떨어지고 있고, 이것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겁니다. 2022년 수도권 여객 기종점 통행량(O/D) 전수화 공동사업의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65.1%에 달하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2021년에 52.9%로 떨어진 반면 승용차는
24.5%에서 38%로 뛰어올랐습니다.
★ 교통수단분담률
사람들이 통행할 때 하루 중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분포 비율(%)
실제로 서울 시내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중 ‘수송 분야’ 온실가스가 17%(약 763만 톤)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승용차 이용을 대중교통 수요로 전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1km 이동 시 승용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10g, 버스가 27.7g, 지하철이 1.5g을 기록했습니다. 대중교통이 승용차보다는 환경에 유익한 셈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서민들의 대중교통 요금부담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전했는데요. 실제로 교통(휘발유, 경유, 도로통행료, 도시철도료, 시내버스료, 택시료, 택배이용료) 부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 이후 가파르게 치솟았습니다.
통계청의 ‘202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교통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3.8% 증가한 114.43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8월 이후 교통 소비자물가지수는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올해 8월에 반등했습니다. 2023년 6월의 교통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1.0%까지 감소했으나, 8월에는 -2.5%로 그 감소폭이 줄어들었습니다.
통계청이 조사한 주요 등락품목에도 시내버스 요금이 전월대비 7.7%, 전년동월대비
8.1%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정책이 10월 말까지 연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 소비자물가지수가
크게 증가한 데에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 부담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의 모티브인 독일 ‘9유로 티켓’의 성과를 벤치마킹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독일은 지난해 6~8월, 한화 약 1만 2천 원으로 대중교통을 한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실험 도입한 바 있습니다.
이 9유로 티켓은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어 약 5천만 장이 팔렸는데요. 실험 도입 결과 대중교통 이용률은 25% 증가했고, 이산화탄소는 180만 톤을 저감할 수 있었습니다. 물가상승률은 0.7% 감소하는 경제적 효과를 비롯, 교통혼잡 개선 등의 부가적인 성취도 이룰 수 있었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독일은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원화 약 7만 원) 가격의 ‘도이칠란드 티켓(D-Ticket)’을 본격적으로 도입해 3달 여 만에 1,100만 장을 판매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曰 “교통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며,
교통요금 인상으로 느끼실 가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를 안정적으로 도입, 운영하는 한편 앞으로 시민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동행하는 교통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펼쳐나가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