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미국인 절반, "바이든 행정부가 美 경제 악화시켜"
▷ 바이든 행정부 집권 이후, 미국인들의 경제적 지표 개선돼
▷ 양호한 고용 성적이 소비를 지탱해 미국 경제를 이끌고 있어
▷ 그럼에도 좋지 않은 민심... 정치권도 마찬가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집권 이후, 미국인들의 경제적인 삶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좋지 않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CNN에 따르면, “대부분의 객관적인 지표로 봤을 때 미국인들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3년 전보다 경제적으로 더 나은 삶을 영위하고 있으나, SSRS에 의뢰해서 수행한 새로운 CNN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부분(58%)이 바이든의 정책이 경제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응답”(By almost any objective measure, Americans are doing much better economically than they were nearly three years ago, when President Joe Biden took office. Still, a majority — 58% — say Biden’s policies have made economic conditions worse, according to a new CNN Poll conducted by SSRS”)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현재 미국인들의 삶이 경제적으로 호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절반 이상의 미국인들은 ‘바이든의 경제 정책’의 효과를 내지 못했다고 여기는 셈입니다. 이 수치는 1년 전보다 50% 늘어난 규모입니다.
저스틴 울퍼스(Justin Wolfes) 미시간 경제학 교수의 말에 따르면, 2021년 1월 바이든 행정부 집권 당시 미국의 경제는 말 그대로 “엉망”(““everything sucked”)이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업률은 6.3%까지 치솟았고, 갑작스런 경제봉쇄 등으로 인해 경제활동 전반의 발이 묶이면서 수요와 생산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무역적자 폭 역시 확대되었는데요. 울퍼스 교수는 해당 시기에 대해 “내 인생에서 최악의 경제적 순간 중 하나”(“one of the worst economic moments of my life”)로 비유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미국인들의 경제적 삶이 개선된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듯합니다. 일자리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실업률은 반 세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약 3.5%에 근접했고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올랐습니다.
강력한 고용 덕분에 사람들은 지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가졌고, 이들의
소비를 동력 삼아 미국 경제는 활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CNN은 “사람들은
기분이 좋지 않다면서도 기분이 좋은 것처럼 돈을 쓰고 있다”(“People are spending like
they’re in a good mood, even if they say they’re not”)고 설명했는데요.
그렇다면, 왜 미국인들이 바이든의 경제 정책에 대해 좋지 않은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 CNN은 “인플레이션과 부동산, 그리고 씁쓸한 국가 정책” 때문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현 세계경제의 가장 큰 악재 중 하나입니다. 미국 역시 예외는 아니므로, 2021년과 2022년의 급격한 물가 인상은 미국인들에게 큰 고통을 가져다주었습니다.
2022년 6월
기준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9.1%로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지난 7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3.2%의
상승폭을 기록하는 등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만, 코로나19와
비교해보면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CNN은 2019년 말에
비해 오늘날의 미국 물가는 약 18%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집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현 미국의 경제는 더욱 ‘형편 없는 것’으로 느껴지고 있다고 CNN은 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했을 때,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65%로 유례없이 낮았는데요.
바이든 대통령 집권 이후 금리는 7% 이상 상승해 2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 미국의 평균 주택 가격은 2019년 25만 8천 달러에서
41만 6천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시기를 지나면서 주택의 공급물량 역시 부족해졌습니다. 주택 구입자들에겐 좋지 않은 여건이 형성된 셈입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도 미국 정치권의 반응은 좋지 않습니다. CNN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공화당은 물론 여당인 민주당 또한 바이든 행정부 정책에 호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화당원 중 2%, 민주당원 중 48%만이 바이든 집권 이후 경제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들을
제외한 다른 민주당원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경제를 오히려 악화시켰다고 판단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