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현대차, 인니 전기차 시장 1위 달성....일본차 독점 구조에 균열 가속화

▷현대차,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1위 올라
▷아이오닉5, 스타게이저 등의 인기에 힘입어 인니 일본차 독점 구조에 변화 예고

입력 : 2023.09.05 16:16 수정 : 2023.09.05 16:16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전기차 '아이오닉 5'가 생산되고 있다(출처=현대차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현대자동차가 세계 4위 인구 대국이자 세계 1위 니켈 보유국인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1위를 기록했습니다.

 

5일 현대자동차는 “(현대차가) 올 들어 7월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 3913대를 판매해 시장점유율 56.5%를 달성하고 전기차 시장 1위에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 우링자동차에 이어 2위를 기록했지만, 아이오닉 5의 현지 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올해 1위 자동차 업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아이오닉5는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생산하는 유일한 수입 전기차입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3월 인도네시아 브카시 델타마스 공단에 사상 첫 동남아 지역 완성차 공장을 준공하고 인도네시아 첫 현지생산 전기차 아이오닉5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현대차는 전기차 핵심 소재인 니켈 등 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에서 전동화 전환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 현지에 건설 중인 배터리셀 합작공장이 내년 가동되면,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통해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현대차는 아이오닉5와 함께 스타게이저, 크레타 등 전략 차종도 현지에서 인기를 끌면서, 50년 이상 유지해온 일본차 독점 구조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판매법인(HMID)의 현지 자동차 판매 순위는 202113위에서 20228위로 올라섰으며, 올해 7월에는 6위로 빠르게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 기간 판매대수는 20213005대에서 현지 생산이 시작된 20223 1965대로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올해 1~7월 누적 판매 대수는 265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8.1%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시장점유율은 도요타(1, 32.5%), 다이하쓰(2, 19.6%), 혼다(3, 14.5%), 스즈키(4, 8.0%), 미쓰비시(5, 7.6%)로 주요 일본 업체들과 현대차(3.4%) 사이에 격차가 크지만, 인도네시아에 먼저 진출해 견고하게 다져온 독점 체제에 균열을 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열린 인도네이사국제모터쇼(GIIAS) 2023에서 현대차는 3727대의 현장 계약을 달성하며, 도요타(1. 5796)에 이어 현장 판매 2위 업체에 올랐습니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해 아세안 시장을 겨냥해 내놓은 특화 다목적 차량(MPV)가 이번 모터쇼에서 도요타의 경쟁모델보다 더 많은 주문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스타게이저 X’를 추가해 현지 공략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수출을 통해 아시안 지역도 적극 공략할 계획입니다. 아세안자동차연맹 (ASEAN AUTOMOTIVE FEDERATION)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아세안 자동차 시장은 1637226대 규모로, 전년 상반기보다 1.2% 성장했습니다. 이 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비중은 아세안 자동차 시장의 30.9%으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도요타, 미쓰비시 등 일본 주요 자동차 업체들도 인도네시아에 자동차 생산 공장을 증설하는 등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려는 모양새입니다.

 

도요타는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전기차 생산 공장을 설립해 전기차 수출 기지로 만들 계획입니다. 지난해 도요타는 인도네시아에 5년간 18억 달러(22천억 원)를 투자해 전기차 생산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일본 미쓰비시 자동차도 내년까지 인도네시아에 57천억 루피아(5천억원)를 추가 투자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전기차 생산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