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승용차 수출입 모두 역대 최고... '독일'과의 무역 활발
▷ 2023년 2분기 승용차 수출액 155억 달러, 수입액 46억 달러
▷ 독일 상대로는 수출이 3위, 수입이 1위 규모
▷ 친환경차가 성장세 견인... 전망도 밝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3년 들어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활발한 산업은 ‘승용차 산업’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6.6% 증가한 166억 달러를, 수입액은 32.9% 늘어난 4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출대수와 수입대수 역시 각각 73만 대(전년동기대비 +33.3%), 9만 대(+11.9%) 증가했습니다. 수출입 모두 역대 최대 실적으로, 특히 독일과 활발한 승용차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수출의 경우, 주요 수출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독일 순입니다. 증감률로 따져보면 독일이 눈에 띕니다. 독일을 상대로 한 우리나라의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09.8%나 증가했는데,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또, 미국 57%, 캐나다 51.5%, 영국 43.7%,
이스라엘 46.3% 등 증가세를 보인 반면, 뉴질랜드와
칠레, 베트남 등은 수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감소율로 보면
베트남이 -62.6%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승용차 산업의 활황을 견인한 건 ‘친환경차’입니다. 올해 2분기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70.7% 증가한 63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액 및 수량 모두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는데요.
기후변화 등 환경요인에 대한 전세계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친환경차의 수요가 확대되었고, 차량용 반도체 수급도 회복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친환경차의 수출액과 수출 수량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며, 차종으로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엔진과 배터리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자동차) 순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수출국 별로는 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스페인
등을 중심으로 친환경차 수출액이 증가했는데요. 마찬가지로 독일의 수출액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122.7%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승용차 산업의 전망은 밝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최근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의 특징과 정책 추진 방향’에 따르면, “세계 주요 전기차 시장의 수급 동향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미래 전기차 판매의 밝은 전망을 지탱시켜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경제의 두 축으로 볼 수 있는 미국과 중국이 전기차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오는 2030년이면 전기차의 비중이 35%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정귀희 해외에너지정책분석팀 전문원 曰 “2022년에 세계 전기차 산업에
대한 투자는 4,250억 달러를 웃돌아 2021년 대비 50% 증가했는데, 이중 90%가
민간부문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나머지 10%만이 정부 지원이었음”
수입의 경우, 주요 대상국이 독일과 미국, 영국 순으로 수출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증감율로 봤을 때 독일(+35.6%), 영국(+103.9%), 오스트리아(+165.6%), 슬로바키아(+229.2%), 일본(+86.0%), 멕시코(+27.5%) 등에선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나, 미국(-15.1%), 벨기에(-30.6%), 캐나다(-26.9%) 등에선 줄어들었습니다.
차종으로 보면, 수출과 유사하게 친환경차의 수입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친환경차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47.2% 늘어나 수입비중이 51.9%를 기록했습니다. 수입액은 최초로 2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특히 하이브리드의 수입액이 15.3억 달러로 가장 많은 비중(33.5%)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형차도 35.7% 증가해 28.5%의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다소 아쉬운 지점은, 수입의 평균단가가 수출의 평균단가를 상회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올해 2분기 수출 평균단가는 한 대당 22,841달러로, 전년동기대비 9.8% 늘었습니다만, 수입 평균단가는 18.8% 오른 51,171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수입하는 독일의 브랜드 승용차 가격이 만만찮기 때문입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202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팔린 승용차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E 250으로, 그 가격은 기본 7천만 원~1억 원을 호가하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