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7월 초 무역수지 23억 달러 적자...향후 전망은?

▷관세청, 7월1∼10일 수출입 현황
▷수입 26.9% 감소…무역수지 23억달러 적자
▷올해 하반기 무역수지 12억 달러 적자 전망

입력 : 2023.07.11 13:46 수정 : 2023.07.11 13:48
7월 초 무역수지 23억 달러 적자...향후 전망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7월 1~10일 기간 무역수지가 약 23억 달러(2조9900억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15%가량 줄어든 영향입니다. 지난달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를 보인 지 열흘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관세청이 11일 발표한 '7월 1일 ~ 7월 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수출은 132억6700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8%(23억달러) 줄어든 수준입니다. 수입은 155억 4300만 달러로 26.9%(57억1000만달러)줄었습니다. 수입은 155억 4300만 달러로 26.9%(57억1000만달러) 줄었습니다.

 

수출이 수입을 밑돌면서 무역수지는 22억76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월간 무역수지는 16개월 만에 지난달(11억3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지만 다시 적자로 전환됐습니다.

 

이달 1~10일 기간의 수출 품목을 보면 반도체 등 일부 품목 등에서 큰 폭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승용차(25.2%), 선박(74%)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반도체(-36.8%), 석유제품(-51.3%) 등에서는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유럽연합(22.4%), 인도(11.1%) 등에서 증가했지만 중국(-20.6%), 미국(-9.0%), 베트남(-32.5%) 등에서는 감소했습니다.

 

수입 현황을 품목별로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선통신기기(48.1%)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원유(-55.2%), 반도체(-23.8%), 가스(-32.2%), 반도체 제조장비(-14.7%) 등에서는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베트남(13.7%), 말레이시아(6.1%)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중국(-16.8%), 미국(-17.5%), 유럽연합(-5.9%) 등에서는 감소했습니다.

 

올해 들어 6월 10일까지 누적 수출은 3204억4600만달러, 수입은 3491억8800만달러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관과 비교해 수출은 12.5%(456억3000만달러), 수입은 8.8%(334억9000만달러) 각각 감소했습니다. 누적 무역수지는 287억4100만달러 적자로 지난해 연간 적자(477억8500만달러)의 약 60%를 넘어섰습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지난달 '2023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을 통해 올해 하반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1% 감소한 3227억 달러, 수입은 12.4% 감소한 3239억 달러, 무역수지는 12억 달러 적자를 기록할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하반기 수출은 작년 4분기 수출 부진에 대한 기저효과로 감소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특히 반도체 수출은 빠르면 4분기 초부터 글로벌 수요 및 업황 개선이 기대되나, 상반기까지 수출 호조세를 견인한 자동차 수출은 글로벌 수요 감소로 하반기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이 예상된다는 게 무협 측의 설명입니다.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에너지 도입단가 하락으로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되며, 수출보다 수입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하반기 중 무역적자는 지속적으로 완화될 전망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