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월만에 무역수지 흑자 전환…상반기 자동차 수출액 역대 최고치
▷6월 무역수지 11억 달러 흑자
▷친환경차 판매 증가로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 전년동기 대비 46.6% 증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무역수지가 16개월만에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17일 관세청이 발표한 ‘6월
수출입 현황(확정치)’에 따르면 무역수지는 11억26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출액은 542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0% 늘었고, 수입액은 531억500만달러로 11.7% 감소했습니다.
올해 들어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월 53억달러, 3월 47억달러, 4월 27억달러, 5월
22억달러로 꾸준히 적자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1년
4개월만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 중 승용차(60.7%), 선박(96.2%), 자동차 부품(4.5%) 등은 증가했으며, 석유제품(-40.5%), 반도체(-28.0%), 무선통신기기(-16.7%) 등은 감소했습니다.
특히 승용차는 12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도 전년동기 대비 46.6% 증가한 357억 달러(약 45조3247억원)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단가가 높은 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판매가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친환경차 수출금액은 올 상반기 124억달러(약 15조7000억원)로 전년대비 70.4%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친환경차는 38만5000대가 수출됐는데, 수출 차량 4대 중 1대는
친환경차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부진했던 상반기 생산량 역시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공급이
정상화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3.5% 증가한 219만8000대를 기록했습니다. 상반기 생산량이 200만 대를 회복한 것은 코로나19 이전인 19년 이후 4년 만입니다.
반면 반도체 수출은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전년 동월 대비 28.0% 감소한 90억 6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캐나다(22.4%), 유럽연합(18.0%), 중동(14.8%) 등은 수출이 증가했지만, 중국(-19.0%), 호주(-15.8%), 베트남(-11.0%), 일본(-3.7%), 미국(-1.8%)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주요 수입품목별로는 승용차(75.0%), 비철금속광(6.4%), 제조용 장비(1.0%), 등은 늘었지만, 원유(-28.6%), 가전제품(-4.7%), 기계류(-0.3%) 등은 감소했습니다.
주요 수입대상국 가운데 유럽연합(16.4%), 베트남(2.9%) 증가했지만, 호주(-32.7%)
중동(-21.6%), 미국(-18.3%), 중국(-16.7%), 일본(-4.4%), 등은 감소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