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폄하 김은경 두둔 나선 양이원영...與, 천벌 받아 마땅할 발언
▷양이원영 의원, "청년들 정치 참여 독려했을 뿐"
▷국민의힘, “민주당, 노인 비하 DNA 재확인”

양이 의원은 1일 페이스북을 통해 김 위원장의 발언을 전하면서 “김 위원장은 지난 30일 청년들과 가진 좌담회에서 아들이 중학생 시절에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지금 어떤 정치인에게 투표하느냐가 미래를 결정한다. 하지만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은 그 미래에 살아있지도 않을 사람들이다”라며
“미래에 더 오래 살아있을 청년과 아이들이 그들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어야… 그러니 정치가 싫어도, 일부 언론과 일부 정치권이 끊임없이 정치혐오를
불러일으켜도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2050년 삶에 영향을 끼칠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윤석열 정권에 우리 아이는 아무런 것도 할 수 없습니다”라며 “저는 그때에 살아있을 지 모르지만, 아이의 미래를 위해 위와 같은
디스토피아 대한민국을 최대한 막아내겠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가진 청년좌담회에서 자신의 아들과
나눈 대화 내용을 이야기하며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 연령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부터) 여명까지로 해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되게 합리적이죠.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 1로 표결해야 하나”라고
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을 두고 국민의힘에서는 ‘노인 폄하’라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1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SNS를
통해 “민주당 노인 무시∙비하 DNA의 화룡점정”이라며 “민주당 인사들의 인식에 깊숙이 뿌리 박힌 ‘노인 비하∙폄하’ DNA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단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선배 세대를 향한 그들의
적개심에, 이제는 우리 사회가 엄중한 경고와 함께 제동을 걸어야 마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같은 날 윤재옥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각
유권자에게 남은 기대수명에 따라 비례적으로 투표권을 주자는 아들의 발상은 중학생다운 순진한 생각”이라면서
“김 위원장이 이 생각을 받아 미래가 긴 사람과 짧은 사람이라는 갈등적 표현으로 세대를 대비시키는
순간 아들의 순진한 발상은 어느새 고도의 정쟁적 주장으로 바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민주당은 2004년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입에 담을 수 없는 노인폄하의 긴 역사를 가진 정당”이라면서 “진정 혁신할 것은 이처럼 갈등적 세계관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보며 표 계산을 앞세워 극단적 국민 분할 지배 전략으로
선거에 접근하는 민주당의 구태”라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논란이 확산되자 민주당 혁신위원회는 입장문을 통해 “김 위원장은 아들이 중학생 시절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인 1표’라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는 해명을 내놨습니다.
댓글 0개